분류 전체보기 (378)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상주의 화가들 인상주의 이전의 그림은 어떻게 하면 사실적으로 그릴 수 있는가를 고민하며 가고 있었다. 그래서 입체적인 묘사가 대세였으며 원근법과 명암법이 기본이었다. 또한 종교화에서 추구하는 고상함과 성스러움은 어두운 분위기를 이끌었다. 마네(Eduard Manet)는 위의 분위기를 무덤으로 표현하며 풀밭위의 점심식사(Le Déjeuner sur l'herbe)라는 작품으로 기성의 미술계에 도전장을 내민다. 나체, 경박한 소재, 평면적인 그림, 부족한 원근감과 입체감 등은 미술계를 분노케 했다. 9년 후 마네를 지지하는 28명의 화가들은 협동조합이라는 명칭으로 165점을 전시한다. 그림의 형체가 불분명하고 그림의 형체조차 알기 힘든 것을 보고 평단은 '인상적'이라며 조롱했고 이후 이것은 이들을 가리키는 인상파(impr.. 인지심리학 심리학은 인식을 분석하거나 의식의 흐름으로 대치하고 아예 부정하거나 무의식같이 의식 이상의 것으로까지 넓히며 연구대상과 접근 방법을 바꿔가며 발전해왔다. 이와 달리 칼 로저스(Carl R. Rogers)와 매슬로우(Abraham H. Maslow)은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에서 떨어져 과학 논쟁을 거부하고 인간의 자아실현을 강조했다. 로저스는 카운슬링에 영향을 끼쳤고, 매슬로우는 욕구 5단계설로 동기부여 이론을 촉발시켰다. 그렇게 해서 이제는 초기의 행동주의와 멀어진 인간이 가진 인지구조를 연구하는 인지심리학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인지심리학은 인간의 인지 과정이나 지식의 획득 과정을 연구한다. 피아제(Jean Piajet)가 인지발달 이론을 소개하면서 인간의 인지 능력이 일정한 순서와 체계를 통해 발달하고.. 심리학의 흐름 심리학의 아버지는 저먼 생리학자 빌헬름 분트(Wilhelm Wundt)다. 분트는 생리작용 속에 심리적 요소가 있음을 깨닫고 이를 실험하려고 했다. 그리고 감각경험을 적어 그 느낌과 의식과의 관계를 따져 보았다. 특히 인간의 정신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를 알고 싶어했다. 그래서 구성주의 심리학의 기초를 쌓았다. 이에 반해 US의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정신이란 정지해 있는 게 아니고 의식을 분석하는 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보았다. 그보다는 정신 과정이나 행동이 기능하는 방식, 적응하고 생존하는 방식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기능심리학이라 한다. 윌리엄 계통인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Thorndike)는 문제상자라는 실험을 했다. 고양이를 상.. 칼 융의 사상 프로이트의 후계자로 큰 점수를 얻었던 칼 융(Carl Gustav Jung, 18750726 ~ 19610606)은 처음에는 자유연상법을 사용하는 프로이트에게 끌렸다. 자신이 단어연상 검사를 통해 무의식적인 컴플렉스를 연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프로이트가 확고하게 과학적이고 기계론적 접근을 했다면 융은 자신이 신비로운 경험을 많이 해서 그런 지 정신이 가진 영적인 면도 좋아했다. 융은 꿈이 성적충동뿐 아니라 자신의 여러 욕망들, 자신이 기억하지 않으려는 자신의 단점 ,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원형이라는 것 등으로 설명하려 했다. 그림자란 개념이 있다. 우리 자신이 인정하기 힘든, 인격의 다른 측면으로 열등한 혹은 야만적인 면이다. 이유없이 다른 누군가를 싫어한다면 그 사람이 자신의 그림자를 보여주기..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0506 ~ 19390923)는 무의식을 세상에 나오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정신을 들여다보는 것을 정신분석학이라고 한다. 프로이트는 아동의 외상경험, 무의식적 갈등, 억압적 욕망, 방어기제와 같은 용어를 만들고, 자동연상법(free association)이나 꿈을 해석함으로 무의식이 실재하고 그것에 접근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면서 인간은 무의식에 지배를 받는다는 걸 밝혔다. 거기에 성적충동에 관한 논문들은 인간 욕망의 근원에 대한 통찰력을 주었고 문화예술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는 이전까지 이성을 중심에 놓고 논의하던 사유의 분위기를 뒤집은 것이다. 하지만 정신분석 기법은 반증이 어려워 과학으로 인정받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지나친 성에.. 주왕조 이후 중국철학 윈버그 채에 의하면 주왕조 이후 중국 철학은 네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원전 3세기 진한시대다. 진시황은 정치적 사상을 하나로 묶으려 의학, 역학, 농학을 제외한 모든 책을 불태웠다. 전한시대의 동중서는 유학을 통한 단합을 시도했다. 이 때의 유학은 도학을 가미한 사상을 말한다. 한나라 학자들은 두 파로 나뉘었다. 금문학파는 분서갱유 이후의 책들을 분석하는 학파로 공자를 무관의 제왕으로 등극시켰고 고문학은 분서갱유 이전의 책들을 분석하는 학파로 공자는 성인의 한명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둘은 공자와 유교의 진정한 해석을 두고 부딪쳤으나 금문학은 위작을 만들어내는 풍토를 조성하며 후한에 이르면 크게 쇠퇴한다. 이 때에는 도가와 더불어 인도에서 불교가 들어와 위세를 떨치기 시작했다. 그 위세.. 한비자의 법가 정리 일부 학자는 법가를 처음으로 체계화한 인물은 기원전 7세기 제나라의 정승 관중이라고 주장한다. 관중은 소금과 철에 과세를 매겨 제나라를 당시 가장 부유하고 강대한 나라로 만들었다. 또 기원전 536년 정나라의 영의정 자산은 형법을 처음으로 성문화한다. 그로인해 질서가 확립되고 나라의 범죄가 줄어들었다. 조나라의 신도는 법가에서 세력 또는 권능이 세상을 다스리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교리의 창시자다. 한나라의 정승 신불해는 정치의 불가결한 한 요소로써 술의 개념을 제시한다. 술이란 통치자가 신하를 제어하여 자기 자신에 이롭게 하는 수단으로 삼는 정치술 또는 책략이다. 위나라의 상앙은 법의 엄격한 시행으로 법가에 일조했다. 그는 신상필벌의 신법을 제정하여 권력이 높든, 친척이든 누구도 용서하지 않았.. 한비자의 사상 한비자는 법가면서도 도학자이기도 하다. 주로 무위의 교리를 제창했기 때문이다. "해와 달이 비치고 사계절이 돌아 구름이 퍼지고 바람이 불듯이 통치자는 지식으로 자기 마음을 가리지 않고 사리로 자신을 가리지 않는다. 그는 선정을 위해 법에 의존해 시비를 상과 벌로 다스리고 그 무게를 저울에 단다." 초기 중국 봉건 사회에서 귀족은 예로 다스리고 평민은 오직 벌로만 다스렸다. 공자는 후자를 폐지하고 예를 만인에게 적용하기를 주장했다. 한비자는 여기에 예 대신에 법을 넣어 평등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귀족의 지위를 끌어내렸다. "현명한 군주가 다스리는 나라는 문서를 꾸미지 않고 백성을 위한 법전을 발포한다. 이런 나라는 선왕들의 방법을 따르지 않고 관리들로 하여금 백성의 주인이 되게 한다. 이 나라는 사.. 이전 1 ··· 6 7 8 9 10 11 12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