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80)
추상화로 가는 길 Abstract Art 피카소(Pablo Picasso)의 아비뇽의 처녀들(Les Demoiselles d'Avignon)은 입체주주의 탄생을 알린 작품이다. 원근법과 명암이 사라졌고 그림 속 여체는 해부학적으로 불가능한 몸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초기에 외면을 받았으나 동료 브라크(Georges Braue)와 판매상 칸바일러(Danel-Henry Kahnweller)의 노력으로 서서히 명성을 얻어갔다. 피카소는 처음에 세잔의 방식을 따라 기하학적 형태들을 이용해 그렸다. 그러다 점차 섬세한 면 분할을 통해 하나의 대상을 다각도로 표현했다. 그리고 브라크가 파피에 콜레(신문지나 벽지 등 실제 물건들을 화면에 붙이는 몽타주 기법)를 시도하면서 구체적 형태를 회복시켜 나갔다. 이를 종합적 입체주의라 부른다. 당대 피카소의 라이벌..
고갱과 고흐 고갱(Paul Gauguin, 18480607 ~ 19030508)과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 18530330 ~ 18900729)는 외형적인 형태보다는 마음과 영혼을 표현하려고 했다. 고갱은 단순한 색과 선을 이용해 정신을 담아내려 했고 고흐는 거친 붓터치와 강렬한 색채로 심리상태를 담아낸다. 고갱은 처음에 인상파의 기법을 따라갔으나 시각효과에만 신경쓰는 것이 맘에 들지 않아 독자노선을 고민하던 중 민속예술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지도 않고 검고 뚜렷한 윤곽선, 순수하고 평평한 채색들로 이루어진 것을 알게 된다. 이후 발표하는 검은색 윤곽, 밝은 면의 특징을 가진 작품들로 종합주의라는 평가를 받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도시를 버리고 남태평양의 타히티 섬으로 들어가 원시생활과 토..
인상주의 화가들 인상주의 이전의 그림은 어떻게 하면 사실적으로 그릴 수 있는가를 고민하며 가고 있었다. 그래서 입체적인 묘사가 대세였으며 원근법과 명암법이 기본이었다. 또한 종교화에서 추구하는 고상함과 성스러움은 어두운 분위기를 이끌었다. 마네(Eduard Manet)는 위의 분위기를 무덤으로 표현하며 풀밭위의 점심식사(Le Déjeuner sur l'herbe)라는 작품으로 기성의 미술계에 도전장을 내민다. 나체, 경박한 소재, 평면적인 그림, 부족한 원근감과 입체감 등은 미술계를 분노케 했다. 9년 후 마네를 지지하는 28명의 화가들은 협동조합이라는 명칭으로 165점을 전시한다. 그림의 형체가 불분명하고 그림의 형체조차 알기 힘든 것을 보고 평단은 '인상적'이라며 조롱했고 이후 이것은 이들을 가리키는 인상파(impr..
인지심리학 심리학은 인식을 분석하거나 의식의 흐름으로 대치하고 아예 부정하거나 무의식같이 의식 이상의 것으로까지 넓히며 연구대상과 접근 방법을 바꿔가며 발전해왔다. 이와 달리 칼 로저스(Carl R. Rogers)와 매슬로우(Abraham H. Maslow)은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에서 떨어져 과학 논쟁을 거부하고 인간의 자아실현을 강조했다. 로저스는 카운슬링에 영향을 끼쳤고, 매슬로우는 욕구 5단계설로 동기부여 이론을 촉발시켰다. 그렇게 해서 이제는 초기의 행동주의와 멀어진 인간이 가진 인지구조를 연구하는 인지심리학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인지심리학은 인간의 인지 과정이나 지식의 획득 과정을 연구한다. 피아제(Jean Piajet)가 인지발달 이론을 소개하면서 인간의 인지 능력이 일정한 순서와 체계를 통해 발달하고..
심리학의 흐름 심리학의 아버지는 저먼 생리학자 빌헬름 분트(Wilhelm Wundt)다. 분트는 생리작용 속에 심리적 요소가 있음을 깨닫고 이를 실험하려고 했다. 그리고 감각경험을 적어 그 느낌과 의식과의 관계를 따져 보았다. 특히 인간의 정신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를 알고 싶어했다. 그래서 구성주의 심리학의 기초를 쌓았다. 이에 반해 US의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정신이란 정지해 있는 게 아니고 의식을 분석하는 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보았다. 그보다는 정신 과정이나 행동이 기능하는 방식, 적응하고 생존하는 방식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기능심리학이라 한다. 윌리엄 계통인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Thorndike)는 문제상자라는 실험을 했다. 고양이를 상..
칼 융의 사상 프로이트의 후계자로 큰 점수를 얻었던 칼 융(Carl Gustav Jung, 18750726 ~ 19610606)은 처음에는 자유연상법을 사용하는 프로이트에게 끌렸다. 자신이 단어연상 검사를 통해 무의식적인 컴플렉스를 연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프로이트가 확고하게 과학적이고 기계론적 접근을 했다면 융은 자신이 신비로운 경험을 많이 해서 그런 지 정신이 가진 영적인 면도 좋아했다. 융은 꿈이 성적충동뿐 아니라 자신의 여러 욕망들, 자신이 기억하지 않으려는 자신의 단점 ,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원형이라는 것 등으로 설명하려 했다. 그림자란 개념이 있다. 우리 자신이 인정하기 힘든, 인격의 다른 측면으로 열등한 혹은 야만적인 면이다. 이유없이 다른 누군가를 싫어한다면 그 사람이 자신의 그림자를 보여주기..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0506 ~ 19390923)는 무의식을 세상에 나오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정신을 들여다보는 것을 정신분석학이라고 한다. 프로이트는 아동의 외상경험, 무의식적 갈등, 억압적 욕망, 방어기제와 같은 용어를 만들고, 자동연상법(free association)이나 꿈을 해석함으로 무의식이 실재하고 그것에 접근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면서 인간은 무의식에 지배를 받는다는 걸 밝혔다. 거기에 성적충동에 관한 논문들은 인간 욕망의 근원에 대한 통찰력을 주었고 문화예술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는 이전까지 이성을 중심에 놓고 논의하던 사유의 분위기를 뒤집은 것이다. 하지만 정신분석 기법은 반증이 어려워 과학으로 인정받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지나친 성에..
주왕조 이후 중국철학 윈버그 채에 의하면 주왕조 이후 중국 철학은 네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원전 3세기 진한시대다. 진시황은 정치적 사상을 하나로 묶으려 의학, 역학, 농학을 제외한 모든 책을 불태웠다. 전한시대의 동중서는 유학을 통한 단합을 시도했다. 이 때의 유학은 도학을 가미한 사상을 말한다. 한나라 학자들은 두 파로 나뉘었다. 금문학파는 분서갱유 이후의 책들을 분석하는 학파로 공자를 무관의 제왕으로 등극시켰고 고문학은 분서갱유 이전의 책들을 분석하는 학파로 공자는 성인의 한명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둘은 공자와 유교의 진정한 해석을 두고 부딪쳤으나 금문학은 위작을 만들어내는 풍토를 조성하며 후한에 이르면 크게 쇠퇴한다. 이 때에는 도가와 더불어 인도에서 불교가 들어와 위세를 떨치기 시작했다. 그 위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