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 Sartre(1905-1980)/현상학

(3)
3. 휴머니즘과 무신론 사르트르의 현상학 3. 휴머니즘과 무신론 결국 사르트르는 세계에 대한 의식의 새로운 관계, 또는 세계로부터의 분리와 세계 속에 뛰어들어 그것을 변화시키는 참여인 투기라는 이중작용 위에 인간에 대한 인식을 세우려 한다. 세계로부터 떨어져 나옴으로써 의식은 사물들과 세계만을 자기 밖으로 던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어떤 명목으로든 자기에게 대상일 수 밖에 없는 모든 것, 존재하는 모든 것, 모든 본질, 모든 본성을 내던진다. 현상학적 환원이 가장 철저하게 반자연주의적(또한 반물질주의적)인 인식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동물'일 수 없다. 이성적 동물조차 아니다. 인간은 세계 또는 다른 어떤 '생물계'에 입각해 설명될 수 없다. 세계를 비워낸(차라리 '무'라고 말하자. '비워낸'이란 표현은 의식을 일..
2. 현상학의 초월 또는 폐기 사르트르의 현상학 2. 현상학의 초월 또는 폐기 : 자유와 행동 의식이 무이며 투기라 하는 것은 그것이 아무 것도 아니라는 말임과 동시에 모든 것이 그의 앞에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 어떤 것에도 의지할 수 없다. 자신의 근거를 자유로운 자발성에서 취하기 위해, 존재하는 모든 것들로부터 그리고 자신의 현상태 전부로부터 분리된다는 점에서 의식은 저 자신의 근거인 것이다. 아무것도 주어져 있지 않다. 떨어져 나와야만 할 것밖에는. 그러므로 의식은 결코 주어진 것이 아니며 인간의 자유, 그 고통스럽고 완전한 자유 - 그것이 존재론적 자유건 선험적 자유건 - 또한 출발점으로 주어진 경험적 소여가 결코 아닌 것이다. 반대로 그것은 철저한 현상학적 환원의 결과다. 출발의 상태는 오히려 '매몰된 자유', 속에서의 ..
1. 현상학에서 실존주의로 사르트르 1 현상학에서 실존주의로 우리는 하이데거의 경우에서 현상학에서 존재학으로의 진화를 밝혀냈다. 이제 우리가 해야 할 것은 현상학에서 실존주의라는 모호한 이름으로 지칭되는 것에 이르는 길을 알아내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르트르의 을 덕성여대 교수이자 불문학자인 심민화가 번역했음. 이 글이 실린 한국어판 제목은 이며 1982년 문학과 지성사에 나옴. 이 글은 그 중 사르트르 부분만 옮긴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