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80) 썸네일형 리스트형 트로이전쟁 스파르타에는 그리스 최고의 미녀라 불리는 공주 헬레나가 있었다. 신랑감을 찾을 때는 신청자가 끝없이 들어섰고 그녀의 남편감이 되기 위해 목숨걸고 덤비는 자들이 한 둘이 아니었다. 스파르타의 왕 틴다레오스는 그들 중 한 명을 택하면 나머지가 합심해 자기를 죽일까 두려워할 정도로 공주의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분위기가 몹시 과열되자 구혼자 중 한 명인 오디세우스는 "헬레네가 누구를 선택하든 원망치 말 것, 헬레네의 남편으로 선택된 자가 해를 입을 경우에는 구혼자들 모두 나서서 도와줄 것" 등의 강령을 만들어 합의를 이끌어 낸다. 헬레네는 미케네의 왕자 메넬라오스를 택했고 메넬라오스는 틴다레오스의 뒤를 이어 스파르타의 왕이 되었다. 제우스 아내 헤라, 지혜의 여신 아테나,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평소 .. Jargons, Rules and Laws 우호성(agreeableness) -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려고 하는 욕구 우호성이 높다는 건 누구에게도 욕 먹지 않으려 는 것. 우호성 높은 사람은 포용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기한테 싫은 소리 하는 사람들에겐 격하게 반응함. 우호성이 적절하다는 건 모든 사람과 다 잘 지낼 수 없다는 걸 인정하는 것. 개방성(openness) - 새로운 경험과 자극을 추구하는 성향. 개방성 수치가 높으면 예술 및 문화 활동 참여도가 높아지고 불합리한 기존의 전통과 질서를 따르기보다는 새로운 질서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 핏유형(Fit theory) - 자기한테 딱 맞는 일만 하고 다른 것에는 관심이 없음 개발형(Develop theory) - 자신에게 딱 맞는 일이 정해져 있다기 보다는 어떤 일을 하면서 조.. 테세우스(Theseus) 아테네의 왕 아이게우스는 "아테네에 도착할 때까지 술주머니를 열지 마라"는 신탁을 받는다. 이게 무슨 뜻인지 몰랐던 아이게우스는 트로이젠의 왕 피테우스에게 찾아가 조언을 구했다. 피테우스는 듣자마자 영웅 탄생 신탁임을 느끼고 아이게우스에게 술을 잔뜩 먹이고 자신의 딸 아이트라를 침상으로 보낸다. 그리고 테세우스가 태어난다. 아이게우스는 아이트라에게 만약 남자아이면 모든 신분을 숨기고 키워달라고 말하고 큰 바위 밑에 칼과 샌들을 숨겨놓고 "아이가 이 바위를 움직일 수 있을 때가 되면 아버지의 이름을 밝히고, 그 증거로 칼과 샌들을 들려서 아테네로 보내요"라고 말했다. 테세우스는 16세에 아테네로 떠난다. 가는 도중에 페리페테스를 만나 때려눕힌뒤 그의 곤봉을 빼앗아 가지고 다니며 상징적으로 곤봉을 휘두르며 .. 메데이아와 이아손 이아손은 이올코스의 왕 아이손의 아들이다. 왕위를 물려받기엔 나이가 너무 어려 이복동생 펠리아스가 수렴청정한다는 명분으로 왕위를 빼앗아가 버리자 이아손이 걱정된 아이손은 펠리온산에 사는 케이론에게 아들을 맡긴다. 케이론의 보살핌으로 잘 자란 이아손은 왕좌를 되찾기 위해 이올코스로 향한다. 가는 도중 물이 불어 꼼짝 못하고 있는 노파를 만난다. 이아손은 노파를 등에 업고 건너다 한 쪽 샌들을 잃어버렸다. 이 노파는 여신 헤라가 변신한 것이다. 헤라는 자신의 신전에서 사람을 죽인 펠리아스를 벌하기 위해 이아손을 시험해 보았다. 펠리아스는 한 쪽 샌들만 신은 자에게 왕위를 내준다는 신탁을 받아놓은 터라 이아손이 한쪽 샌들만 신고 나타나자 자신의 계략을 실행했다. 바로 콜키스의 황금 양피를 가져와야 왕위를 준다.. 헤라클레스 페르세우스는 안드로메다와의 사이에서 페르세스, 알카이오스를 낳고 알카이오스는 아스티다메이아와 딸 아낙소를 낳는다. 아낙소는엘렉트리온과의 사이에서 딸 알크메네를 낳는다. 그리고 알크메네는 암피트리온과 결혼해 이피클레스와 헤라클레스를 낳는다. 암피트리온이 원정을 나가고 알크메네가 혼자 남자 제우스는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해 알크메네에게 다가간다. 알크메네는 이미 아이를 임신하고 있었으나 제우스와의 동침으로 쌍둥이를 낳는다. 제우스는 들뜬 나머지 "다음에 태어나는 페르세우스의 후손은 미케네의 왕이 될 것이다"라고 선언한다. 하지만 이를 들은 헤라는 격분해 알크메네의 출산을 늦추고 페르세우스의 일족 중 스테넬로스의 아이가 먼저 태어나도록 만들어 스테넬로스의 아들이 미케네의 왕이 된다. 헤라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이.. 페르세우스 제우스는 아르고스의 왕 아크리시오스의 딸 다나에에게 반한다. 이 와중에 아크리시오스는 '딸이 낳은 아들에게 죽을 것이다'라는 신탁을 받는다. 그러자 딸 다나에를 청동으로 된 방에 가두어버린다. 제우스는 황금비로 변해 지붕의 작은 틈새로 스며들어가 다나에 무릎 사이로 파고든다. 그리고 둘 사이에서는 페르세우스가 태어난다. 신탁이 두려웠던 아크리시오스는 페르세우스를 나무상자에 넣어 바다에 버린다. 나무상자는 세리포스섬에 도착하고 페르세우스는 거기서 자란다. 세리포스의 왕 폴리데크테스는 섬의 남자들에게 나라에 말을 바치라고 명한다. 가난했던 페르세우스는 말 대신에 메두사의 머리를 바치겠다고 한다. 메두사는 고르곤이라 부르는 가이아의 자손 스테노, 에우리알레, 메두사 세 자매 증 한 명이다. 이들은 뱀의 머리카.. 인간을 만든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프로메테우스는 티탄족이다. 하지만 '미리 알다',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란 뜻을 가진 이름처럼 제우스와 기득권을 가진 티탄족이 싸울 때 제우스의 편에 선다.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에게 인간을 만들라고 명한다. 하지만 물과 흙으로 만든 인간은 결점이 많았다. 그러자 제우스는 다시 다른 인간을 만들려고 했다.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을 너무나도 아꼈기에 이에 반대하고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 준다. 인간은 불을 가지고 농사짓고 무기를 만들며 빠르게 번식했다. 제우스는 인간이 자신에게 바치는 제물을 직접 고르겠다고 한다. 고기 중 좋은 부위를 취하고 인간에게는 먹기 힘든 부위를 줘 굶주리게 할 작정이었다. 프로메테우스는 이를 미리 알아채고 제물로 올라온 황소 고기를 고기쪽과 내장, 뼈 쪽으로 나누고 뼈를 두꺼운.. 그리스 신화의 시작 그리스 신화에서는 천지창조가 먼저 일어나고 신이 탄생한다. 태초에 카오스가 있었고 그 속에서 만물이 자연발생한다. 카오스는 무한공간, 공허를 뜻한다. 이것을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Ovidius Pubius Naso)는 이것을 무질서 속에 무정형의 요소들이 산재해 있는 혼돈으로 의미를 확장시켰다. 그리고 이제 자연이 신격화되어 모습을 드러낸다. 어둠, 암흑의 남신 에레보스, 밤의 여신 닉스가 생기고 이들에게서 창공의 남신 아이테르, 낮의 여신 헤메라가 태어난다. 어둠에서 빛이 나온 것이다. 카오스에서는 대지의 여신 가이아, 가장 깊은 곳의 남신 타르타로스, 사랑(생식)의 남신 에로스(아프로디테의 아들 에로스와는 동명이신) 등이 생겨났다. 가이아는 하늘의 남신 우라노스, 산맥의 신 오레, 바다의 신 폰토스.. 이전 1 ··· 5 6 7 8 9 10 11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