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묵자(墨子, 기470-기391)

(4)
묵자사상에서의 하늘 묵자는 확고한 심리적 기반을 갖기 위해 자신의 학설이 하늘의 의지와 부합된다고 주장했다. 하늘은 인류를 사랑하며 모든 인간이 서로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 하늘의 의지라 설명한다. 우리는 하늘이 인간을 사랑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늘은 인간을 가르쳐 깨닫게 한다. 하늘이 그렇다는 걸 어떻게 알까? 하늘이 우리들 전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다. 그건 또 어떻게 알까. 하늘이 인간의 희생으로 떠받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모두 하늘의 신하인데 어떻게 하늘이 인간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죄없는 자를 살인한 자에게 왜 재앙을 내리지 않느냐고? 죄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은 인간이다. 하늘은 인간의 부정에 재앙을 준다. 나는 하늘이 세상 모든 인간을 사랑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영혼도 하늘과 마찬가지..
묵자의 정치사상과 공리주의 묵자는 공리개념으로 정과 부정, 선악의 규준으로서의 득과 해를 주장한다. 득은 유쾌한 것이고 해는 갖기 싫어하는 것이다. 악보다 선을 더 많이 내는 것은 득이고 악을 더 많이 내는 것은 해다. 팔 전체를 구하기 위해 손가락 하나를 자른다면 그것은 득 가운데 최대의 득이고 해 가운데 최소의 해다. 최소의 해를 취하는 해가 아니라 득이다. 득이 끝에가서 해가 된다면 이 득을 단념해야 한다. 해가 나중에 득이 된다면 이 해를 감수할 용의를 가져야 한다. 최대의 백성에게 이득이 된다면 그것은 득이고 최소의 백성에게 이득이 된다면 그것은 해이다. 만명 중 4~5명에게 유용한 약이라던가, 많은 국가 중 3~4개 국가만 이득을 본다면 그것은 해이다. 어떤 한 명의 희생으로 세계가 구해진다면 그것은 이득이다. 득은 최..
묵자의 이타주의 묵자는 전국시대의 유혈과 소란속에 살았다. 이 시대의 군소제후국은 중앙권력의 쇠퇴, 봉건주의 붕괴 등으로 안전과 생존을 위해 투쟁하고 있었다. 또한 법이 효력을 잃은 사회에서 충성은 간데 없고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개인적인 야망의 추구를 최고의 선으로 삼고 있으니 약자에 대한 배려는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귀족과 평민간의 차별이 아주 심한 세상이라 평민은 농민 외엔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묵자는 평민과 같은 약자보호를 위해 전투기술을 연마하고 성벽 방어용 기구 등을 만들어 전쟁에 참여했다. 사회적인 평등과 공리를 주장한 것이다. 그만큼 실용적인 가치가 떨어지는 의식이나 예, 음악 등은 이 시대에 필요치 않다고 여겼다. 사치와 탐닉에 빠진 상류층을 피와 땀으로 하류층이 지지하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개..
묵자의 생애와 사상 묵자(墨子)는 여타의 중국 철학자들과 달리 미천한 가문의 출신이다. 본명은 묵적이고 묵학이라는 학파를 창시해 공리주의의 원칙을 수립했다. 그것을 토대로 봉건주의의 번잡한 예를 배격하고 겸애를 가르쳤다. 묵자에 대한 유력한 설은 묵이 성이 아니고 노예에 대한 일종의 처벌 형태인 문신이라는 것이다. 고대의 노예들은 전쟁포로들로 특정 지역에 살면서 특수 공예 분야를 연마하는 훈련을 받았다. 묵자도 이에 속하는 신분을 갖고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노나라 사람이고 송나라에서 말단 관리를 맡은 적이 있고 여러 나라를 돌다가 주나라에서 생애를 마친 것으로 보고 있다. 유년시절에는 공자 학파의 문하생이었으나 공자 학설에 실망하고 나온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2세기의 저서 에는 묵자가 봉건적인 예의 번잡함에 고통스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