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이데거(M. Heiddeger, 1889-1976)

(15)
하이데거의 현존재와 불안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에서 존재자가 아닌 존재에 대해 묻는다. 존재자란 사람뿐 아니라 볼펜, 책상 등 사물들처럼 존재하는 것들이다. 존재란 '있다'란 뜻이다. 있는 것을 의미할 뿐 존재자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있음은 존재자들을 말할 수 있는 기초 개념이다. 존재는 모든 존재자에게 공통된 것이고 보거나 만질 수는 없다. 존재는 존재자에게 숨겨져 있다. 이전까지의 철학은 오직 존재자에 대한 이야기만 했고 존재 또는 '있다'의 의미가 무엇인지 논의한 적이 없다. 그러므로 존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묻는 것이 존재론보다 앞서 해야 할 질문이다. 이를 기초존재론이라 한다. 하이데거는 현상학을 통해 존재가 무엇인지 탐구한다. 존재를 묻고 논할 수 있는 건 오직 인간뿐이다. 그러니 인간이라는 존재..
현존재는 걱정 하고 불안에 떨며 산다 - 하이데거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는 저먼 바덴에서 태어났다.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마르부르크 대학과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교수가 되었고 이후에는 총장까지 올랐다. 총장 취임식에서 나치즘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였으나 10개월 뒤에 실수였음을 밝히고 사임하였다. 슈피겔과의 인터뷰에서는 나치즘에서 모종의 참신함을 보긴했으나 대학의 자율권을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타협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작으로 이 있다. 하이데거는 인간실존보다는 존재 그 자체에 관심이 있다. 그래서 현상학(직접적 경험의 자료들을 추상화나 개념화 없이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방법)으로 인간존재를 분석하고 그렇게 분석한 인간의 존재방식을 특징 짓기 위해 현존재라는 용어를 사용해 부른다. 세계는 우리가..
진리의 신전9 - 세계의 상실 / 진중권 세계의 상실 하이데거의 미학비판Kritik der Asthetik은 동시에 근대의 미적asthetische 예술문화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정말 그렇게 작품들이 미술관과 전시관에 세워져 있고 내걸려 있다. (……)공공기관은 작품들을 관리하고 보호하는 일을 맡는다. 미술 전문가와 미술 비평가는 작품들을 놓고 분주히 씨름한다. 미술품 거래상은 시세를 따진다. 미술사 연구는 작품들을 한 학문의 대상으로 삼는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러한 다중적인 분주함 속에서 작품들 그 자체와 만나고 있는가?1) 모던의 예술문화는 미술관과 박물관을 통한 수집과 진열의 문화다. 여기서 작품들은 그것이 가졌던 진리를 잃어버리고 한갓 미적 관조의 대상으로 전락한다. 이것을 하이데거는 “세계의 박탈”, “세계의 붕괴”라 부른다. 뮌헨..
진리의 신전8 - 미학의 전복 / 진중권 미학의 전복 <근원>은 이렇게 <존재와 시간>에 개진된 현존재의 실존론적-존재론적 분석을 전제한다. 서구의 형이상학에 대한 이 급진적인 비판은 당연히 그것을 바탕으로 성립한 (근대) 미학의 전복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대지와 세계’는 내용과 형식이라는 전통적인 예술작품의 존재..
진리의 신전7 - 세계의 세계화 / 진중권 세계의 세계화 그리스 신전에서 세계와 대지는 내용과 형식이라는 전통적 개념을 대체하는 새로운 예술작품의 존재론을 이룬다. 고흐의 구두에서 세계와 대지는 작품이 우리에게 열어 보여주는 진리의 내용을 이룬다. 세계와 대지라는 은유의 바탕에는 근대의 주객이원론을 해체하는 새로운 현존재..
진리의 신전6 - 세계와 대지 / 진중권 세계와 대지 사실 고흐의 그림은 구두의 재현이다. 그 안에서 우리는 분명히 재현된 구두의 모습을 본다. 그렇다면 혹시 그 작품 속에 정립된 그 진리라는 것도 실은 모방의 진리, 재현의 진리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진리의 발생사건을 새로이 드러내 보일 필요”가 있다며 하이데거는 이번에는 의..
진리의 신전5 - 작품 / 진중권 작품 고흐의 구두에 관한 저 파토스에 가득 찬 구절을, 하이데거는 한갓 자기 자신의 주관적 견해의 투사로 보기를 거부한다. 그것을 그저 관찰자의 주관적 견해로 치부한다면, 그것은 “가장 극심한 자기기만”이리라. 하이데거는 저 농민적 파토스로 가득 찬 말을 발화한 주체는 자신이 아니라 고흐..
진리의 신전4 - 도구 / 진중권 도구 이어서 하이데거는 사물에 대한 또 다른 정의를 도입한다. 사물=질료+형상, 즉 사물이란 “형상화된 질료”라는 것이다. 미학 이론에서 이는 작품=소재+형식, 또는 내용+형식이라는 공식으로 구체화된다.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는 이 정의의 바탕에는 사물은 곧 제작의 산물이라는 의인법이 깔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