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 Kant(1724-1804)

(11)
칸트의 형이상학 구하기 칸트는 인간에게 자연적 존재의 측면과 예지적 존재의 측면이 있다고 본다. 전자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본능과 이기심에 충실한 모습을 띤다. 후자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고 자연 법칙을 뛰어넘어 자유를 누리게 만든다. 자유는 방종과 다르다. 이는 인간을 인간답게 하고 도덕적 가치의 기본을 제공해 마치 자신의 목숨을 걸고 누군가를 구하는 것과 같은 선함을 실행시킨다. 이 자유는 인과율과 관계 없고 사유의 대상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요청되는 것이다. 이는 욕망을 따르지 않을 수 있는 자유이다. 실천이성이란 어떤 특정한 행동을 해야한다는 의미에서의 실천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내적인 마음의 결의다. 또한 이성인 동시에 의지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에게 도덕법칙을 부과한다. 이 부과는 경험에서 오는 것은 아니라..
외부의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선험적 형식이란 것이 있다 - 칸트 칸트는 독일(당시 동프로이센, 현재는 러시아)의 쾨니히스베르크(칼리닌 그라드)에서 마구제조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서 학위를 받고 형이상학과 논리학교수가 되었다. 여행을 하지 않고 쾨니히스 베르크에서만 지냈으며 루소의 을 읽다 오후 산책에 늦은 일이 사건이 될 정도로 시간을 엄수하는 것으로 전설적인 명성을 얻었다. 인과율의 무근거성을 주장한 흄 덕분에 "독단의 잠"에서 깨어났다고 고백했고 그간 당연시 되어왔던 "신은 존재한다"나 "영혼은 불멸한다"와 같은 명제는 인간의 경험안에 예시할 수 없기 때문에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
판단력비판 정리 요약 판단력비판(判斷力批判) Kritik der Urteilskraft(1790) 1장 미적 판단력 1. 미의 분석-[아름답다라는 진술]은 무엇인가? 趣美판단 - 미추의 판단 1) 성질의 관점에서 본 취미판단의 분석(1~5) 취미판단은 미적이다(주관적이다) 대상에서 쾌,만족을 느끼는 상태 감각쾌(쾌적함)와 선에 대한 쾌는 대상과 연관되나 미에 대한 쾌는 자유롭다 취미의 성질은 모든 관심을 떠나 만족 불만족을 통해 판단하는 능력 2) 분량의 관점에서 본 취미판단의 분석(6~9) 아름다운 것은 개념 없이 보편적인 만족의 대상을 표상하는 것 감각취미(사적 판단) 반성취미(동의를 요구) 반성취미판단의 양적인 계기는 보편적 동의의 요구이다. 보편적 만족으로 인해 논리적 판단으로 변질될 수 있다. 보편적 기초인 감각느낌..
칸트 미학 이론 칸트 미학 이론 제1장 들어가는 말 제1절 칸트 미학 이론 연구의 문제들 칸트의 3비판서 중 제1비판인 '순수이성비판'은 과학적 인식의 주장이 갖는 본성과 지위에 관한 비판(비판 : 철저한 탐구와 검토라고 생각하자)적 고찰이고, 제2비판인 '실천이성비판'은 도덕적 인식의 주장이 갖는 본성과 지위에 관한 비판적 고찰이고, 제3비판인 '판단력비판'은 미감적 인식(자연과 예술에서의 미와 숭고)과 합목적적 인식 일반의 주장이 갖는 본성과 지위에 관한 고찰이다. 칸트가 생각한 미학의 주요 문제는 "이것은 아름답다"라는 형식의 판단을 "만인의 동의를 요구할 수 있는" 필연적이고도 보편적인 판단으로 만드는 권리에 관한 것이다.(칸트에게서 이런 판단의 바탕에는 어떤 선험적 원리가 놓여져 있고, 그 원리를 발견해 내는 ..
칸트의 판단력비판 칸트 판단력 비판 목 차 Ⅰ. 머리말 ---------------------------------------- 1 Ⅱ. 칸트 美學 理論의 성립배경 ------------------------ 2 1. 社會的 배경 - 18세기 후반의 독일적 상황 2. 思想史的 배경 - 영국의 경험주의와 독일의 합리주의 Ⅲ. 칸트 철학 체계 내에서의 『判斷力 批判』의 위치 ---- 6 Ⅳ. 悟性과 理性의 매개로서의 判斷力 ------------------ 8 Ⅴ. 美的 判斷力 批判의 주요문제 --------------------- 10 1. 趣味 判斷의 4가지 계기 2. 美와 崇高 3. 美的 判斷의 演繹 4. 趣味의 二律背反 5. 道德性의 象徵으로서의 美 Ⅵ. 맺는 말 ------------------------------..
칸트의 미학 - 취미는 천재의 날개를 자른다 칸트의 미학사상 최근 방송가에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유행이다. 그중에서 대중음악계에서는 이미 한 사람의 예술가로 자타가 공인하는 기성가수들이 서바이벌 형식의 가요경연을 벌이는‘나는 가수다.’라는 프로그램이 세인들에게 화제가 되고 있다. 로큰롤 대디로 불리는 임재범은 티베트 고승들이나 냄 직한 소리와 분위기로 무장하여 남진의 을 부른 적이 있었다. 수많은 사람에게 혼(Geist/정신)이 담긴 작품으로 각인되었고, 그 독창성과 천재성이 높이 평가되었다. 하지만, 그 당시 청중평가단의 평가는 정확히 중간인 4위였다. 예술은 자연처럼 보일 때, 진정한 미적 예술 칸트에의하면,‘ 미’란목적없는합목적성을드러내는것이어야한다. 반면에 인간의 목적 활동(예술 작품을 포함하여)에는 내적이든 외적이든 일정한 목적이나 의도가 ..
칸트 목적론과 헤겔 칸트 목적론과 헤겔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아 있는 것(das Lebendige)에서 파악한 기본적인 규정은 살아 있는 것은 목적에 따라 활동하는 것으로 고찰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입장은 근대에 들어서는 거의 상실되었는데 결정적으로 칸트는 내적인 합목적성의 개념, 즉 살아 있는 것은 자기 목적으로 고찰되어야 한다는 견해 속에서 자기 나름의 자연 개념을 다시 규정하기 시작한다. 그럼에도 목적론적인 논의와 개념들은 19세기와 20세기를 지나오면서 광범위하게 거부되었다. 이러한 논의와 개념들은 일반적으로 형이상학적인 의혹에 쌓여 있는 것으로 보였고, 게다가 유기체와 같은 특정한 영역들을 목적론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주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이러한 목적론적인 논의와 개념들이 새로이 부각되..
순수이성비판 요약 『순수이성비판』 요약 순수이성비판(Kritik der reinen Vernunft)』은 ‘이성(Vernunft)'에 의한 ‘이성'자신의 비판을 의미한다. 정당한 요구는 보호해 주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즉 자신의 권한을 넘어서는 월권에 대해서는 그 요구를 거절하는 ‘법정(Gerichtshof)'에서 ‘이성'은 자신의 권한과 한계에 관해 스스로 묻는다. 이러한 ‘이성능력' 자체에 대한 비판은 잃어버린 형이상학의 위엄을 되찾고 학으로서의 형이상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일이다. 우리 인식능력의 한계를 넘어서서 대상인식을 시도한 모든 이전의 이성의 월권에서 벗어나서 학으로서의 형이상학의 가능성을 밝히는 일은 이제 ‘선험적 종합판단'으로 이루어진 형이상학적 진술의 가능성을 탐구하여 선험적 인식의 원천과 범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