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王陽明(1472-1528)/왕양명

(6)
왕양명 생애 왕양명 1472 ~ 1529 중국 명나라 중기의 유학자로서 호는 양명이며 이름은 수인(守仁)이다. 그리고 자는 백안(伯安)이며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저장성 여요 출생으로 관직에 나간 부친을 따라 베이징에서 자랐고, 28세에 진사에 합격하였다. 결혼식날 불로장생의 술법인 양생술(養生術)에 대해 도사와 토론하는 데 열중하여 결혼 초야를 도교사원에서 보내고 말았다. 1492년 성시에 합격하여 거인(擧人)이 되었다. 베이징에 있던 아버지를 찾아갔을 때 위대한 성리학자 주희의 가르침대로 대나무 앞에 조용히 앉아서 그 이치를 찾아내려 했으나 1주일의 명상 끝에 병에 걸렸을 뿐 별 소득이 없었다. 그렇게 학문적으로는 당시의 관학이었던 주자학(朱子學)을 배웠으나 만족하지 않았고, 선(禪)이나 노장(老莊)의 설에 심..
인류의 스승 왕양명 왕양명은 중국 저장성 출신 본명은 왕수인으로 지금의 저장성 출신이다. 어려서 진사에 급제, 그 이후 학자, 정치가, 군인으로 크게 공헌하였다. 불교, 무예, 시학 등 여러가지 면에서 빼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왕양명도 처음에는 그 당시 지배 이데올로기로 군립하던 주자학에 심취..
양명학 양명학 1. 출현배경 주자학의 국교화 →본래의 도덕주의를 상실, 철학적 사유의 힘과 예리한 이론성이 쇠퇴 2. 왕양명 37세 - 용장오도(龍場悟道) "성인의 도는 나의 본성만으로 만족하고 있다. 이전에 理를 사물 가운데서 구한 것은 잘못이었다" 지행합일설을 제시(용장오도 직후) 수행방법 - 묵좌징심(默坐澄心), 정좌 묵좌 - 마음을 맑게 함, 원기회복과 신체보양을 위함 정좌 - 소학단계 '구방심의 공부를 보조 수렴을 위주 수렴 - 어느 것이 진정한 자아이고 어는 것이 기질, 사욕의 자아인지를 구별하는 공부 →仁體를 체득 →공허, 참신한 언론이 사라지고 학문이 생기가 없게 되었다. 43세 - 남경에서 "존천리 거인욕"을 성찰극치의 실제 공부로 삼음, 정좌는 거론하지 않았다. 3. 철학사상 1) 심즉리(心卽..
왕양명의 사상 심즉리(心卽理)라는 말은 주자의 성즉리(性卽理)에 대비시켜 양명학의 핵심을 표현한 말이다. 심즉리는 심(心)을 천리(天理)와 동일시하는 것으로 인간의 본심이 곧 진리라는 말이다. 성리학이 성(性)을 천리와 동일시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주자는 리를 객관적으로 보고 왕양명은 리를 주관적으로 생각하나, 왕양명은 심이 없으면 리도 없다고 생각한다. 심은 우주의 근원이므로 리는 심에 의해 파악된다. 양명학은 심·성·리가 일체라고 주장한다. 리란 심밖에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심이 곧 리다. 따라서 심이 있음으로 물도 있게 된다. 이는 주자가 인성이나 물성이나 리가 별도로 존재한다고 보는 것과 구별된다. 심밖에 일이 없고 심밖에 리가 따로 없다. 물론 심즉리에서 심은 곧 리라는 의미와 심을 벗어난 리가 없다는..
양지(良知) 왕양명(1472~1529)의 철학은 치양지(致良知)와 지행합일(知行合一)에 근거해 직관주의로 해석할 수 있다. 왕양명은 심즉리(心卽理 - 내 마음이 곧 이치)를 주장하며, 마음의 본체를 양지(良知)라고 보았다. 양지란 ‘배우지 않아도 알고, 일삼지 않아도 할 수 있다’는 맹자의 양지양능(良知良能)에서 비롯된 것으로, 타고난 도덕적 자각능력을 가리킨다. 이때 자각이라는 것은 이지적 탐구의 결과가 아니라 바로 직관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그는 마음과 이치가 하나로 합일된 경지로서, 인간이 타고난 도덕적 자각을 완성한 상태인 치양지(致良知)를 주장한다. 왕양명 철학의 특성은 그가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를 비판하는 데서도 잘 나타난다. 주자는 격물(格物)을 일(事)과 사물(物)에 담긴 이치(理)를 ..
왕양명의 철학 왕양명 1. 역사적 맥락에서 본 왕양명 왕양명은 명나라 헌종 성화 8년인 1472년에 태어났다. 왕양명의 이름은 수인이고 자가 백안으로 절강성 여요 사람이다. 왕양명은 젊은 날, 병법에 관심이 많았고 28세 때 진사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34세 때 탄핵 상소를 올렸다가 오히려 곤장 40대를 맞고 기절하였다. 37세 때 유배지인 귀주 용장역에서 머무는 동안 깨달음을 얻었다. 밤중에 격물치지의 의미를 홀연히 깨닫고 자기도 모르게 소리 지르고 펄쩍 뛰어 시종을 놀라게 했다. 그 당시 왕양명은 성인의 도는 나의 성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이전의 방법론인 사물로부터 리를 추구하는 것은 오류라는 것을 깨달았다. 왕양명은 43세 때 치량지만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다가 명나라 세종 가정 7년인 1528년에 타계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