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Frege(1848-1925)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레게의 양화 예나 대학의 강사였던 프레게는 수학이 논리학의 일부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수학의 근본 개념들이 논리학에서 연역되거나 순수한 논리적 개념들로 환원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논리적 명제들을 수학적 기호 체계들로 만들어 보여줌으로써 기호 논리학을 창안했다. 명제들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선 양화의 방법을 소개했다. "모든 인간은 죽는다"라는 명제가 있다. 기존의 일상언어에서는 '인간'이 주어, '죽는다'가 술어다. 그러나 이 명제를 수학적으로 바꾸면 '인간' 또한 술어의 개념에 속한다. 이 명제의 정확한 뜻은 '모든 X에 대해 X가 인간이면, X는 죽는다'의 뜻으로 결국 인간이 X를 설명하는 술어가 되는 것이다. 이렇듯 고전논리학에서 말하는 전칭 명제 '모든 것은 P이다'는 기호논리학에서는 임의의 .. 언어의 의미와 지칭체는 다른 것이다 - 프레게 프레게는 철학의 기초로 논리학으로 보았다. 그 출발점은 이다. 그는 "수란 무엇인가", "수학적 진리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을 던진 뒤 동떨어진 영역에 존재하는 플라톤의 완벽한 세계, 또 밀이 주장하는 변화하는 개체들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추상해낸 추상체도 아니라며 이전 철학자들의 답변을 파기한다. 그리고 수란 개념에 속하는 것이며 개념에 귀속되어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라는 것은 대상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의 저자이다"와 같은 주장 안에서의 "이다"가 "아리스토텔레스"와 "의 저자"와의 동일성을 주장하는 것처럼 "목성의 달 수는 넷이다"에서 "넷"도 "목성의 달의 수"와 동일함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집합이나 외연 같은 논리적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수학보다는 논리적 용..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