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ristotle(기384-322)

(16)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처럼 이데아라는 것이 따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 내부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은 재료와 같은 질료가 있고 그로 인해 생긴 형태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형상이 이데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금반지를 예로 들면 금반지는 금이라는 질료와 동그랗게 가운데 구멍을 뚫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잠재태와 현실태로 구분한다. 금반지에서 금은 반지가 될 수 있는 질료의 상태인 잠재태이고 형상을 가지고 반지가 된 금반지는 현실태가 된다. 잠재태가 변화하여 현실태가 된 것이다. 이는 질료가 내재해 있는 형상을 실현해 나가는 것이다. 질료가 형상으로 나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작용인과 목적인이 있기 때문이다. 작용인은 무엇이 만..
아리스토텔레스의 부동의 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사물이 운동 중에 있고 그것은 시작도 끝도 알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것의 원인으로 부동의 동자(Unmoved Mover)를 설정했다. 이는 영원하고 비질료적이며 변화하지 않는 완전한 자로 가능태가 없는 현실태이다. 가능태는 변화를 내포하므로 덜 완전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격체이다. 지성은 인격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사고는 사고 그 자체로서 있을 뿐이고, 모든 사물에 대한 그의 완전한 지식 안에서 무한히 행복하다. 부동의 동자는 사물의 운동을 산출함에 있어 어떠한 물리적 방법도 취하지 않는다. 그저 우주의 목적인으로서 모든 사물을 그것을 향해 가는 궁극적 선으로서 그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독립적이고 영원하며 지성적인 존재의 개념은 후에 기독교에서의 신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이하 A)는 논리학을 모든 종류의 연구와 지식의 습득을 위한 도구라 생각했다. 그래서 저서 을 통해 19세기까지 모든 논리적 연구의 기반이 되는 논리학 체계를 구축했다. 그의 논리학은 삼단논법이라 부른다. 이것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세 개의 명제로 구성된다. 위의 둘은 전제가 되고 마지막 하나는 결론이다. 흔히 예를 드는 것으로 다음의 것이 있다. 만일 전제들이 참이고 그 형식이 타당하면 결론은 참이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다른 형태도 있다. A는 열개의 범주 또는 판단형식을 열거한다. 이는 위의 삼단논법의 첫 번째 전제에서 "모든 사람"과 같은 명제의 주어가 "죽는다"와 같은 술어와 관계되는 방식을 열 가지로 나눈 것이다. 그 열 ..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이하 A)는 그리스 북부 스타기라에서 태어났다. 18살에 플라톤(이하 P)의 아카데미아에 들어갔고 P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거기에 남았다. 소아시아의 앗소스로 가서 철학과 생물학을 연구하며 5년을 보냈고 기원전 342년 마케도니아에서 알렉산더 대왕을 가르쳤다. 355년 리케이온을 설립하고 12년을 강의했다. 알렉산더 사후에 그리스에서 마케도니아에 대한 반감이 고조되자 역적으로 몰려 고발당해 칼시스로 도망갔고 떠나며 소크라테스의 예를 들며 "다시 한 번 철학에 대해 죄를 짓는 짓을 막기 위해"라는 말을 남겼다. 하지만 1년 후 칼시스에서 사망했다. A의 사후 제자 테오프라스투스가 리케이온의 지도자가 되었고 3세기 경, 플로티노스는 A의 철학 중 자신이 원하는 것을 뽑아 신플라톤 주의를 만들었..
카타르시스 카타르시스는 비극의 심리적 목적이다. 하지만 『시학』2권의 소실로 카타르시스의 목적을 설명하는 두 가지 줄기가 있다. ① 카타르시스는 연민과 공포라는 감정을 정화하는 것이라는 설. ②카타르시스는 연민과 공포라는 감정을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라는 설. 배설이론 - 정화되어 영혼은 밝아지고 기쁘게 된다. 인류에게 순결한 쾌락을 준다. 해석상의 관점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비극의 주목적은 연민과 공포의 감정, 즉 주인공이 과거에 실제로 겪었던 고통에 대한 연민과 그 앞에 어렴풋이 보이는 고통에 대한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이것들이 과도할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미지만 대부분의 인간들은 이런 감정을 갖게 마련이므로 예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그들에게 자극과 배출의 기회를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
비극 1 비극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이하 A)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비극이란 진지하고 또한 일정한 크기를 지닌 것으로 그 자체로서 완결되어 있기도 한, 어느 한 행위에 대한 모방이다. 그 모방은 각각의 종류가 작품의 여러 부분에 따로 삽입되는 유쾌한 장식들을 지닌 언어로 이루어지고, 서술적 형식이 아니라 드라마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연민이나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사건들을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그러한 감정들의 정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① ‘진지한’ ‘고상한’ ‘좋은’은 비극 내용의 특징을 가리킨다. 이것은 비극이 서사시와 공유하는 특징으로 비극과 서사시 모두가 저열한 것, 추한 것, 어리석은 것을 다루는 희극 및 풍자와 구별된다. ② ‘그 자체로서 완결되어 있는’이란 시작부와 중간부를 지닌 유기적 전체임을..
아리스토텔레스 - 순수 예술 일반 1 도덕성은 행위 자체를 목표로 하지만 기예는 행위 자체가 아니라 무엇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예 일반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 된다. a) 자연의 작업을 완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예. 가령 도구의 제작. b) 자연의 모방을 목표로 하는 기예. 순수 예술. 아리스토텔레스(이하 A)는 플라톤(이하 P)과 마찬가지로 이것의 본질은 모방에 있다고 본다. 2 A에게 모방은 P와 달리 경멸적 색채를 띠지 않는다. A는 사물 속에 있는 보편적 요소를 예술의 수단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오히려 사물의 본질로 파고 들어갈 수 있다고 보았다. 비극의 인물들은 실제 인간보다 낫고 희극은 그보다 못하게 묘사한다. 따라서 호메로스의 인물들은 실제 인간들보다 낫다(호메로스는 P에게 호된 비난을 받았다). 3 모방은 인간에..
아름다움 1. 아리스토텔레스(이하 A)는 아름다운 것을 단순히 즐거운 것과 구별한다. 『문제집』에서 성적 선호(sexual preference)와 미적 선택(aesthetic selection)을 대비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실재의 객관적 아름다움을 오로지 욕구에만 관련된 “아름다움”과 구별한다. 『형이상학』에서는 수학적인 학문들이 아름다운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에게 있어 아름다움이란 단순하게 즐거운 것, 감관을 즐겁게 자극하는 것이 아니다. 2. A는 美와 善을 구별하는가? 이 점은 매우 불분명하다. 『수사학』에서 “아름다움은 선하기 때문에 즐겁다”라고 진술하는데 이것은 美와 善 사이에 그 어떤 실제적 구별도 인정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형이상학』에서 “善은 美와 다르다. 왜냐하면 전자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