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80)
감각의 논리 - 들뢰즈 감각의 논리   고대의 철학자들은 감각(aisthesis)을 이데아 세계에 비해 존재론적으로 열등하고 그 세계를 보는 지적 직관에 비해 인식론적으로 열등한 것으로 여겼고 중세의 신학자들 역시 인간을 죄로 이끄는 쾌락과 결합되었다 하여 윤리적으로 열등한 것으로 격하했다. 이어 근대의 합리주의자들은 아예 존재론적, 인식론적, 윤리학적으로 폄하했다. 18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바움가르텐에 의해 감각은 복권되나, 이때조차 여전히 추상적 사유, 이성적 판단, 합리적 추론의 아래에 놓인 '저급한 인식'에 불과했다. 이러한 합리주의적 인식은 예술을 '이념의 감각적 현현'으로 보고 그것을 철학적 인식의 아래에 놓은 헤겔에까지 이어진다.   들뢰즈의 는 ‘감각에 대한 이성의 우위’라는 이 수천 년 묵은 도식을 뒤집는 극적..
데모크리토스 - 원자론 원자론 철학 - 데모크리토스 존재의 철학과 변화의 철학간의 모순 때문에 그리스 철학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학파로서,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 다음에 등장한 가장 성숙한 이론이 원자론이다. 다원론과 마찬가지로 원자론도 엘레아 학파의 무우주론을 극복하기 위해서 존재자의 다수성과 운동·변화를 두 가지 설명 원리로 채택하고 있다. 또한 원자론은 다원론과 더불어, 비존재로부터 아무 것도 발생하지 않으며 만물의 궁극적 실재는 생성과 소멸을 겪지 않는다는 파르메니데스의 근본 명제를 공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원자론에서 참된 존재로 상정되는 원자(atomos)는 다원론자들이 상정한 궁극적 실재처럼 파르메니데스가 참된 존재의 속성으로 간주하였던 영원성·불변성·불가분성·충만성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톤의 테크네와 모방 Techne - 플라톤 우리가 예술이라고 부르는 활동 중에는 다양한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회화, 조각, 건축, 음악, 무용, 시, 소설, 연극, 영화, 사진, 애니메이션, 비디오 아트 등 이런 각기 다른 인간의 활동들을 우리는 예술이라는 하나의 개념의 범주 안에 포함시켜 이해하고 있지요. 그런데 고대에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예술개념이나 말 체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오늘날 예술이라고 부르는 활동들은 고대에도 존재하고 있었죠. 물론 영화, 사진, 애니메이션, 비디오아트, 컴퓨터아트 등과 같은 것은 없었지만요. 통상 예술이라고 번역되는 "art"라는 영어단어는 라틴어 "ars"에서 나왔고, "ars"는 희랍어 "techne"를 번역한 말입니다. 그런데 "techne"라는 말은 ..
Spleen / Chalres Baudelaire SPLEEN Quand le ciel bas et lourd pe'se comme un couvercle Sur l'esprit ge'missant en proie aux ongs ennuis, Et que de l'horizon embrassant tout le cercle Il nous verse un jour noir plus triste que les nuits; Quand la terre est change'e en un cachot humide, Ou' l'Espe'rance, comme une chauve-souris, S'en va battant les murs de son aile timide Et se cognant le te^te a`des plafonds pourris; Q..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