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78) 썸네일형 리스트형 격물치지 格物致知 1. 격물치지의 개념과 의미 격물格物과 치지致知는 유학에서 인식론과 수양론, 나아가 실천론을 관통하는 철학적 개념으로서 『예기』의 『대학』편에 처음 보인다. 이 책에서 격물과 치지는 도덕적 수양(성의・정심・수신)과 이에 근거한 사회적 실천(제가・치국・평천하)을 위한 선행 조건으로 제시되었다. 집안, 나라, 천하를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과 마음을 갈고 닦는 인격 수양을 해야 하고, 인격 수양을 위해서는 먼저 ‘치지’를 해야만 하는데, 치지는 ‘격물’에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처럼 격물과 치지는 본래부터 수양과 실천을 뜻하는 개념들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갖는 개념이었다. 그 결과 격물과 치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은 『대학』이라는 텍스트의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를.. 유가사상의 회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대한 一考 유가사상의 현대적 과제 유가사상의 회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대한 一考 [한글 요약] 이 논문은 '유가사상이 오늘날 어떻게 유효할 수 있는가'에 관한 하나의 탐색이다. 이러한 연구주제를 선정하게 된 이유는 우선, 문명사적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혹은 한국사회의 도덕적 황폐에 대한 대안으로서 동양전통사상이 거론되는 시대적 배경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엄청나게 변화한 현대사회에서 단순히 유가적 가치의 회복을 주장하는 것으로는 현실의 사회적 모순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적 사회적 조건의 변화라는 현실에 조응하면서 유가사상의 문화이상을 실현할 방도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지적 탐색이 전제되어야 한다. 즉 유가사상이 어떻게 사회적 지배체계와 질서를 합리화할 수 있었는가, 당시의 사회적 모순과 유.. 다산이 성리학을 비판한 까닭 정약용은 주희가 완성한 성리학을 비판하면서 공자와 맹자가 말하였던 실천 중심의 유학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고 하였습니다. 이 같은 정약용의 입장은 인간에 대한 이해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정약용은 인간의 본성을 선천적인 도덕성으로 이해하고 형이상학적으로 설명한 성리학자들과 달리, 마음이 인간 생명의 실체이며, 마음의 속성인 성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기호(嗜好)에 따라 실천에 의해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다산은 그 증거로 도둑도 깨끗한 사람이라고 하면 좋아하며, 착한 일을 하고 나면 스스로 만족스러워 하지만 나쁜 짓을 하고 나면 부끄러워한다는 예를 들었습니다. 이처럼 사람이 선을 좋아하는 것은 사슴이 들을 좋아하고 꿩이 산을 좋아하며 벼가 물을 좋아하는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 茶山 工夫論에 있어서 '德性'의 문제 다산 공부론에 있어 덕성의 문제 1. 서론 다산 철학은 성리학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와 강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한다. 이기론적 해석체계에 대한 그의 매서운 비판은 당대의 모순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정당성을 획득하고 있다. 그가 제기한 다양한 형태의 탈성리학적 담론은 이제 실학의 근대성을 알려 주는 주요한 징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의 성리학에 대한 주체적인 해석과 세계에 대한 전면적인 재해석은 주자학의 중세적 질서감각을 상당 부분 넘어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산의 경학과 경세학에서 조선적 형태의 근대성을 탐구하는 작업은 이제 한국학의 한 상식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산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밝은 조명은 상대적으로 성리학의 세계를 온통 중세적 어둠의 세계로 기록하게 한.. 朱子章句 大學 大,經01,01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으며 백성과 친하게 함에 있으며 지극히 선한 데 머무르게 하는 데 있다. 大,經01,02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알고 멈춘 뒤에야 정함이 있고 정한 뒤에야 흔들리지 않을 수 .. 진리를 향한 의식의 모험 : 헤겔의 정신현상학 진리를 향한 의식의 모험 : 헤겔의 『정신현상학』 헤겔(Georg Wihelm Friedrich Hegel)은 독일 슈튜트가르트에서 태어나 튀빙겐신학교에서 공부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관료나 법률가로 출세하기 위해 고시에 합격하려고 애쓰는 것처럼, 당시 독일 정부의 핵심적인 정책은 기독교를 통해 국민들의 정신을 교화하고 배양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목사가 되는 것이 그 당시 사회적 출세의 등용문이었다. 그래서 부모들은 자신의 자식들이 신학교에 입학해서 목사가 되기를 바랐다. 이러한 풍토에서 독일의 우수한 젊은이들은 오늘날의 우리처럼 부모의 바람에 의해 자신의 적성과는 상관없이 신학교에 진학했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대표적인 신학교의 튀빙겐신학교에도 유명한 시인 휠덜린과 물리학자 케플러를 비롯하여 철학.. 헤겔에 있어서 존재의 문제 헤겔에 있어서 존재의 문제 목 차 1. 서 론 2. 체계시대 이전의 존재 3. 학적 시원으로서의 존재 4. 직접태로서의 존재 5. 규정태로서의 존재 6. 절대자로서의 존재 7. 맺는 말 1. 서 론 우리는 항상 존재에 대한 이해속에서 행동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존재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알지 못한다. 다만 우리가 갖고 있는 것은 존재에 대한 평균적인 이해일 따름이다. 그러나 존재가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와 그 궤를 함께하고 있다. 역사적 탐구의 과정을 통하여 제시된 탐구의 영역은 G.Schmitt의 지적과 같이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존재의 의미는 우선 사물에 대한 파악에서 이해되며, 모든 언어와 담화의 인식 가능성을 위한 조건이다. 둘째, 존재는 유한한 존재.. 칸트 목적론과 헤겔 칸트 목적론과 헤겔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아 있는 것(das Lebendige)에서 파악한 기본적인 규정은 살아 있는 것은 목적에 따라 활동하는 것으로 고찰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입장은 근대에 들어서는 거의 상실되었는데 결정적으로 칸트는 내적인 합목적성의 개념, 즉 살아 있는 것은 자기 목적으로 고찰되어야 한다는 견해 속에서 자기 나름의 자연 개념을 다시 규정하기 시작한다. 그럼에도 목적론적인 논의와 개념들은 19세기와 20세기를 지나오면서 광범위하게 거부되었다. 이러한 논의와 개념들은 일반적으로 형이상학적인 의혹에 쌓여 있는 것으로 보였고, 게다가 유기체와 같은 특정한 영역들을 목적론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주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이러한 목적론적인 논의와 개념들이 새로이 부각되..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