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78)
칸트의 판단력비판 칸트 판단력 비판 목 차 Ⅰ. 머리말 ---------------------------------------- 1 Ⅱ. 칸트 美學 理論의 성립배경 ------------------------ 2 1. 社會的 배경 - 18세기 후반의 독일적 상황 2. 思想史的 배경 - 영국의 경험주의와 독일의 합리주의 Ⅲ. 칸트 철학 체계 내에서의 『判斷力 批判』의 위치 ---- 6 Ⅳ. 悟性과 理性의 매개로서의 判斷力 ------------------ 8 Ⅴ. 美的 判斷力 批判의 주요문제 --------------------- 10 1. 趣味 判斷의 4가지 계기 2. 美와 崇高 3. 美的 判斷의 演繹 4. 趣味의 二律背反 5. 道德性의 象徵으로서의 美 Ⅵ. 맺는 말 ------------------------------..
칸트의 미학 - 취미는 천재의 날개를 자른다 칸트의 미학사상 최근 방송가에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유행이다. 그중에서 대중음악계에서는 이미 한 사람의 예술가로 자타가 공인하는 기성가수들이 서바이벌 형식의 가요경연을 벌이는‘나는 가수다.’라는 프로그램이 세인들에게 화제가 되고 있다. 로큰롤 대디로 불리는 임재범은 티베트 고승들이나 냄 직한 소리와 분위기로 무장하여 남진의 을 부른 적이 있었다. 수많은 사람에게 혼(Geist/정신)이 담긴 작품으로 각인되었고, 그 독창성과 천재성이 높이 평가되었다. 하지만, 그 당시 청중평가단의 평가는 정확히 중간인 4위였다. 예술은 자연처럼 보일 때, 진정한 미적 예술 칸트에의하면,‘ 미’란목적없는합목적성을드러내는것이어야한다. 반면에 인간의 목적 활동(예술 작품을 포함하여)에는 내적이든 외적이든 일정한 목적이나 의도가 ..
주관을 가지고 있는 몸 주관을 가지고 있는 몸 메를로-퐁티 (maurice merleau-ponty, 1908~1961) 메를로-퐁티는 전후 프랑스 지성계에 큰 획을 긋는 철학자로 라로셸 부근의 로슈프르에서 출생하였다. 프랑스 인문학 천재들을 배출해온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고등사범학교 재학 중 사르트르와 보부아르 등을 알게 되어 무신론적 실존주의의 이론가가 되었다. 후에 마르크스주의 정치 노선을 가던 사르트르와 사상적으로 관계를 완전히 끊게 된다. 1945년 리옹, 1949년 소르본대학을 거쳐 베르그송, 라벨의 뒤를 이어 1952년에 콜레주 드 철학교수가 되었다. 메를로-퐁티의 첫 번째 저서인 『행동에 대한 구조』는 1942년 프랑스대학출판사에 의해 출판되며, 대표적 저서인 『지각의 現象學』은 1945년 파리에서 출판된다. ..
메를로-퐁티의 몸 현상학 메를로-퐁티의 몸 현상학 조광제(철학, 철학아카데미 공동대표) 1. 메를로-퐁티의 생애와 사상의 개관 메를로-퐁티는 사르트르보다 3년 늦은 1908년 유복한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1930년 프랑스의 인문학적 천재들을 배출한 파리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합니다. 그가 사르트르를 만난 것은 이 곳에서인데, 이 만남은 프랑스 지성계를 장식한 두 스타 간의 다행과 불행을 동시에 선사하는 계기가 됩니다. 대학을 졸업한 1930년대의 메를로-퐁티는 여러 중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습니다. 이 때 그는 레비-스트로스와 사르트르의 부인인 보봐르를 사귀고, 고등연구원에서 프랑스에 헤겔 철학을 뿌리내리게 한 것으로 유명한 코제브(Alexandre Koèjve: 1902-1968)의 강의를 들으면서 아롱(R. Aron),..
다산 정약용의 성기호설 다산 정약용의 성기호설 장승희 평설위원 / 독서평설 정약용(1662-1836)은 조선 시대의 학자로 실학을 집대성한 위대한 인물로 평가된다. 조선 후기에 그때까지 전해 오던 성리학이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히면서, 실학이 나타나게 되고 정약용은 합리적이고 독창적인 생각으로 이 실학을 집대성하였다. ..
형구(形軀)의 기호와 영지(靈知)의 기호 다산(茶山) 정약용은 인간의 본성을 자연의 경향성으로서 인간의 고유한 욕구에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그는 성을 형구(形軀)의 기호와 영지(靈知)의 기호에서 나오는 두 개의 경향이 있음을 전제하고 있으며, 그 중의 도덕적 선의 경향을 띤 말이 후자인 것이다. 즉 사람의 본성은 선을 즐기는 경향성(기호)이라고 한다. '영지'와 '형구'의 성향은 인간의 마음속에서 서로 대립되는 양상으로 나타나 그것의 결과에 의해서 인간 행위의 방향이 구체적으로 결정된다. 그는 성기호설에서 두 가지 기호 즉 형구의 기호와 영지의 기호의 두 가지 상태가 있음을 주장한다. 영지의 기호는 '선을 좋아하고 욕을 부끄러워'(樂善而恥汚)하는 사람의 본심인 동시에 '무형한 영명의 체'(靈明無形之體)로서의 성이다. 맹자의 표현으로..
大學章句序 大學章句序 大學之書,古之大學所以教人之法也。蓋自天降生民,則既莫不與之以仁義禮智之性矣。然其氣質之稟或不能齊,是以不能皆有以知其性之所有而全之也。一有聰明睿智能盡其性者出於其閒,則天必命之以為億兆之君師,使之治而教之,以復其性。此伏羲、神農、黃帝、堯、舜,所以繼天立極,而司徒之職、典樂之官所由設也。 三代之隆,其法寖備,然後王宮、國都以及閭巷,莫不有學。人生八歲,則自王公以下,至於庶人之子弟,皆入小學,而教之以灑掃、應對、進退之節,禮樂、射御、書數之文;及其十有五年,則自天子之元子、眾子,以至公、卿、大夫、元士之適子,與凡民之俊秀,皆入大學,而教之以窮理、正心、修己、治人之道。此又學校之教、大小之節所以分也。 夫以學校之設,其廣如此,教之之術,其次第節目之詳又如此,而其所以為教,則又皆本之人君躬行心得之餘,不待求之民生日用彝倫之外,是以當世之人無不學。其學焉者,無不有以知其性分之所固..
다산의 목민정신과 그 교육방안 I. 머릿글 교육의 가치를 수단적이나 외재적으로 보는 것도 필요하지만 결코 충분하지는 않다. Bernstein(1978: 198)이 Habermas의 '해방적 인식관심'을 검토하는데서 확인이 되듯이, 우리가 추구하는 문화와 기술의 함축된 의미가 무엇보다도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소외되지 않은 노동이라는 해방을 위한 조건을 마련하는 데 있다고 볼 때,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이야말로 그 자체로서 중요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교육은 내재적 가치를 갖는다. 다산(茶山)1> 또한 이러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확신하고 있다. 정치·경제·행정·형법 등의 존재이유가 다름 아닌 교육에 있음을 다음과 같이 밝힌 그의 진술은 이 확신을 뒷받침해 준다. "백성을 다스리는 직분은 국민을 교육하는 일일 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