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에는 그리스 최고의 미녀라 불리는 공주 헬레나가 있었다. 신랑감을 찾을 때는 신청자가 끝없이 들어섰고 그녀의 남편감이 되기 위해 목숨걸고 덤비는 자들이 한 둘이 아니었다. 스파르타의 왕 틴다레오스는 그들 중 한 명을 택하면 나머지가 합심해 자기를 죽일까 두려워할 정도로 공주의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분위기가 몹시 과열되자 구혼자 중 한 명인 오디세우스는 "헬레네가 누구를 선택하든 원망치 말 것, 헬레네의 남편으로 선택된 자가 해를 입을 경우에는 구혼자들 모두 나서서 도와줄 것" 등의 강령을 만들어 합의를 이끌어 낸다. 헬레네는 미케네의 왕자 메넬라오스를 택했고 메넬라오스는 틴다레오스의 뒤를 이어 스파르타의 왕이 되었다.
제우스 아내 헤라, 지혜의 여신 아테나,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평소 자신들이 가장 아름답다는 생각을 가지고 뽐내며 다녔다. 테티스와 펠레우스가 결혼 할 때 모든 신이 초대장을 받았으나 에리스는 불화의 여신이라는 이유로 초청받지 못했다. 화가 난 에리스는 몰래 연회에 참석해 ‘가장 아름다운 여신의 것'이라 쓴 황금 사과를 던졌다. 이 사과의 주인을 놓고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가 다투었다. 싸움이 멈추지 않자 제우스는 트로이의 왕 프리아모스의 아들로 당시 카즈산에서 양치기를 하고 있던 파리스에게 판정의 기회를 주었다.
여신들은 파리스를 매수한다. 헤라는 ‘아시아의 군주’ 자리를, 아테나는 ‘전투의 승리’를, 아프로디테는 ‘가장 아름다운 여자를 주겠다’고 제의한다. 파리스는 아프로디테를 택한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가장 아름다운 여자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이미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의 아내가 된 헬레네였다.
남의 여자이건 말건 파리스는 상관치 않았다. 약속을 한 아프로디테는 평화사절단으로 파리스를 데리고 스파르타에 입성하고 파리스는 결국 헬레네를 꼬셔 함께 트로이로 도망친다. 졸지에 아내를 빼앗긴 메넬라오스는 형 아가멤논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아가멤논은 그리스 전역에 전쟁을 선포하고 원정군을 요청해 지략가 오디세우스, 최고의 용장 아킬레우스 등이 참전한다. 예언자 칼카스는 전쟁은 10년이나 걸릴 거라고 말하지만, 결국 그렇게 밀어붙여 10만명을 태운 1000척의 그리스연합군의 함대가 트로이를 향해 떠나고 아가멤논은 총사령관이 된다.
첫 전투에서 아킬레우스의 활약으로 그리스군은 승기를 잡았지만 이후 10년간 전쟁은 지지부진했고 트로이의 성문은 열리지 않았다. 그렇게 되자 그리스군은 인근 국가들에서 식량, 가축, 여자들을 약탈했다. 그리고 어느 날 아폴론 신궁의 딸 크리세이스를 잡아온다. 크리세이스의 아버지 크리세스는 많은 돈을 들고와 딸을 풀어달라고 애원하지만 아가멤논은 자기 부인보다 더 크리세이스가 맘에 들었기에 이를 거절한다. 크리세스는 아폴론에게 보복을 부탁한다. 아폴론은 이를 받아들이고 그리스군에 전염병을 돌게 해 병사들이 죽어나갔다. 칼카스는 아가멤논에게 아폴론의 분노를 풀기 위해 크리세이스를 풀어줘야 한다고 말하고 아킬레우스도 이에 동조한다. 화가 난 아가멤논은 크리세이스를 돌려주고 대신 아킬레우스의 여종 브리세이스를 빼앗아 버린다. 이에 화가 나고 낙담한 아킬레우스가 전쟁에서 빠지자 소문을 들은 트로이군은 격렬하게 공격하고 그리스군은 패전을 거듭한다.
아킬레우스는 위기를 느낀 아가멤논은 도움을 거절하지만 친구 파트로클로스가 전쟁에 나가 죽자 이를 복수하기 위해 다시 전쟁에 나간다. 그리고 트로이군을 전멸시켜버린다. 그리고 트로이의 총사령관 헥토르와 결전을 벌인 뒤 헥토르의 양말 뒤꿈치에 구멍을 내고 가죽끈으로 전차에 매달에 트로이 성 주위를 세 바퀴나 돈다. 그리고 며칠간 자신의 막사에 방치해 둔다. 헥토르의 아버지 프리아모스는 아들의 유해를 돌려받기 위해 막대한 돈을 들고 아킬레우스를 찾아오고 아버지의 부탁에 맘이 동한 아킬레우스는 시체를 돌려주고 장례기간에는 휴전을 약속한다. 이후에도 아킬레우스는 트로이를 도우려던 동맹국들까지 모조리 물리쳤다. 하지만 어느 날 트로이 성문까지 밀고들어갔을 때 파리스의 화살을 맞고 사망한다. 유일한 약점인 발뒤꿈치에 맞았기 때문이다.
오디세우스는 목마 전략을 세운다. 마치 그리스군이 퇴각한 것처럼 모든 진영을 불태우고 성문 앞에 거대한 목마만 남겨 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근처 테네도스 섬에서 대기하고 있었고 목마 안에는 오디세우스를 비롯한 50명의 정예가 숨어 있었다. 트로이군은 텅 빈 그리스 진영과 거대한 목마에 놀란다. 그리고 "고국으로 귀향하는 뜻에서 이 선물을 아테네 여신께 바칩니다"라는 문구를 보고 자신들에게 보낸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그때 미처 도망가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그리스군 한 병사를 잡아 목마에 대해 추궁하니 트로이의 번성을 위해 목마를 크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러자 목마를 성 안으로 들이자는 의견이 대세로 자리잡는다. 이에 사제 라오콘, 트로이의 공주 카산드라 등은 목마 속에 병사가 숨어 있을 수 있다면 이를 반대한다. 참고로 미모에 반한 아폴론은 카산드라에게 구애한 적이 있다. 카산드라는 자신과 헬레노스에게 미래를 내다볼 예언능력을 준다면 그 사랑을 받아들이겠다고 말해 아폴론은 둘에게 예지 능력을 주었으나 카산드라가 예지 능력만 받고 입을 싹 씻어버리자 아폴론은 분노해 카산드라의 예언 능력에서 설득력을 빼앗아 사람들은 그녀의 말을 믿지 않게 되었다. 게다가 바다에서 큰 뱀 두 마리가 나타나 라오콘과 두 아들의 몸을 감아 죽이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러자 다수가 라오콘의 주장이 틀렸다고 주장하며 목마를 성에 들이자는 쪽이 확실히 우세하게 된다. 목마를 성으로 들이고 승리에 취한 트로이 사람들은 밤늦게까지 향연을 베풀며 즐긴다. 그리고 이들이 모두 술에 취해 잠들자 그리스군은 목마 속에 나와 성문을 열고 숨어 있던 아군들을 불러들여 자고 있던 모두를 전멸시킨다.
눈에비친햇빛
'철학일반 > 그리스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디푸스(Oedipus) (1) | 2024.02.13 |
---|---|
오디세우스(Odysseus) (1) | 2024.02.12 |
테세우스(Theseus) (1) | 2024.02.10 |
메데이아와 이아손 (1) | 2024.02.09 |
헤라클레스 (1)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