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78)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1. “모든 인간은 본성적으로 알기를 원한다.” 이렇게 아리스토텔레스(이하 A)는 자신의 『형이상학』을 시작한다. 이 책은 강의모음집으로 매우 어렵다(아랍의 철학자 아비센나는 40번이나 읽었음에도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모든 사람은 알기를 원한다. 그러나 앎에는 등급이 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이후 P)과 아리스토텔레스(이후 A)의 철학은 변증법적으로 정과 반의 관계에 있다. 영속적이고 불변하는 실재라는 의미에서의 존재라는 개념으로 P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고 전화(轉化)의 개념을 A의 특징으로 말할 수 있다. 불변하는 존재도 실재적이고 변화와 생성 역시 실재적.. 자성 - 심성론으로의 전환 가능성 자성: 심성론으로의 전환 가능성 중국 철학사에서 현학까지는 우주론 및 본체론적 철학이고 도생부터는 심성론적 철학의 발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임계유는 “도생의 불성돈오학설은 중국 철학과 종교계가 우주 본체론을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인간의 심성을 연구하는 .. 자성 - 불교 수용의 토대 자성: 불교 수용의 토대 곽상이 춘추 전국 시대부터 시작된 순중국적 사유를 종결하였다. 중국적 사유란 “유”와 “무”를 근간으로 하는 본체론 혹은 우주론적 논의와 “자연”과 “명교”로 대표되는 현실적 삶과 관련된 사상이다. 그런데 이 대립된 두 경향을 곽상은 “자성”을 매개로 통일시켰다. 대립된 두 경향의 화해와 통일은 새로운 유형의 사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대립적 갈등이 소멸해버린 것이다. 이런 국면은 앞이 보이지 않는 최종적 종국이라고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출로가 없는 이런 상황에서 중국인들에게는 혁명적 돌파구가 필요했을 것인데, 중국인들에게 漢代에 유입되었던 불교가 그 혁명적 돌파구로서 역할을 하면서 서서히 내부로 진입하였다. 현학의 완결 이후에 새로운 자양분으로 중국인에게 다가온 것은 불교의.. 자성 - 위진 현학의 완성 自性: 위진 현학의 완성 곽상(郭象)은 위진 현학의 완결자이다. 그런데 以討論名敎與自然的關係問題, 爲魏晋玄學的根本目的. 그렇다면, 위진 현학에서 최종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자연과 명교의 문제를 곽상이 어떻게 처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위진 현학에서의 그의 역할을 살펴보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 된다. 왕필은 우주의 본원과 근거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숭본식말(崇本息末)의 이론이 그것인데, 현상적 세계인 “유” 즉 명교가 합리적인 것은 그것이 합리성의 원천인 무 즉 자연에 근원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면서 이 두 세계를 원만하게 연결시키려 하였으나, 여전히 존재성과 가치를 본체의 세계에다 둠으로써 자연에 더 근본적 가치를 둘 수밖에 없는 논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혜강이나 완적 등은 노골적으로 명교를.. 자성 - 장자에 대한 해석 自性: 장자에 대한 해석 곽상이 “자성” 개념을 통해서 철학사에 남긴 공헌 가운데 가장 먼저 보아야 할 것은 장자에 대한 그의 해석이다. 첫째, 장자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선진 시기에 『장자』가 쓰여 진 이후, 『장자』는 개별적으로 읽히다가 위진 시기 완적과 혜강에 의해서 사상.. 독화론 독화론 곽상은 여전히 대립적 균형을 유지하려는 이런 본체론적 논의 즉 “무”에 더 존재적 내지는 가치적 우월성을 두는 귀무론이나 죽림칠현 그리고 “유”의 존재성과 가치만을 인정하는 숭유론 사이의 대립성을 극복하고 양편을 융합하는 통일적인 체계를 형성함으로써 위진 현학.. 곽상의 사상 *자연은 스스로 그러한 것이다 곽상의 자득에 대한 주장은 그의 독특한 자연관에서 비롯된다. 주의할 점은 여기에서 말하는 자연은 우리가 눈으로 보고 접하는 대상으로서의 자연이라기보다는, 문자 그대로 '스스로 그러함(自然)'의 의미를 지닌 자연이라는 점이다. 곽상에 따르면 만물..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