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곽상(郭象, 252-312)/곽상

자성 - 심성론으로의 전환 가능성

반응형

자성: 심성론으로의 전환 가능성

 

중국 철학사에서 현학까지는 우주론 및 본체론적 철학이고 도생부터는 심성론적 철학의 발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임계유는 도생의 불성돈오학설은 중국 철학과 종교계가 우주 본체론을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인간의 심성을 연구하는 것으로 전환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그런데 심성론은 무엇인가? 심성론은 인간의 개별적 주체와 전체 우주가 어떤 관련 속에 있으며 전체 우주의 진상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와 같은 인식론적 질문이 포함되는 사상이다. 여기에는 전체 세계와 독립적으로 대립되어 있는 개별적 주체의 존재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심성론의 대표적 모형은 주자의 성리학인데, 주자의 성리학에서도 개별적 인간이 전체 우주의 존재 원리를 자신의 존재 근거 즉 성으로 가지고 있다. 은 전체 우주의 원리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서가 아니라, 전체 우주의 원리를 개별화해서 자신의 존재 근거로 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자의 성리학 체계에서는 그 이전과 달리 인간이 전체 우주의 원리와 존재 근거로서 연관되어 있고, 이 개별적 주체가 전체 우주의 원리를 인식할 수 있는 존재로 당당하게 등장되어 있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대로 곽상의 자성은 맹자 등에게서와 달리 자기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적인 본성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성을 지탱하는 본체적 성격인 것이다. 이 본체적 성격의 自性이 발생함으로써 전체 세계와 대립될 수 있는 자족적 주체가 등장할 수 있었고, 이 자족적 주체가 등장함으로써 중국 철학은 심성론으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곽상 철학을 심성론 철학으로 볼 수는 없다. 다만 심성론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 즉 자족적 주체를 등장시켰다는 점만 있을 뿐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곽상이 개별적 존재들에게 존재적 자부심과 자긍심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다가 개체의 자족성을 강조함으로써 이 자족적 개체들을 통일시키는 어떤 궁극적 존체를 부정하였기 때문이다. 즉 자족적 주체가 대립할 수 있는 인식 대상으로서의 전체 원리가 부정되어 있는 것이다. 곽상에게 부족한 이런 점을 도생이 보충한다. 도생의 소위 돈오는 진여 본체를 깨닫는 것인데, 이 진여 본체가 개별적 주체들에게 불성으로서 들어 있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이 불성을 드러나게 하면 그것이 곧 본체를 깨닫는 것이 된다. 도생에게서는 이론적으로 이 세계의 전체 원리도 존재하고 그 전체 원리를 깨달을 수 있는 불성을 가진 개체도 존재하기 때문에 심성론적 주체가 성립되어 있는 것이다. 도생이 곽상을 극복하고 중국 사상을 심성론으로 전환시킬 수 있었던 것은 바로 ” “자연” “진여” “열반등으로 표현된 세계의 보편 원리의 존재를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이것이 곽상에게는 없었기 때문에 곽상의 자족적 주체는 심성론적 주체가 될 수 없었다.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반응형

'곽상(郭象, 252-312) > 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성 - 불교 수용의 토대  (0) 2012.09.21
자성 - 장자에 대한 해석  (0) 2012.09.21
독화론  (0) 2012.09.21
곽상의 사상  (0) 201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