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곽상(郭象, 252-312)/곽상

독화론

반응형

독화론

 

 

곽상은 여전히 대립적 균형을 유지하려는 이런 본체론적 논의 즉 에 더 존재적 내지는 가치적 우월성을 두는 귀무론이나 죽림칠현 그리고 의 존재성과 가치만을 인정하는 숭유론 사이의 대립성을 극복하고 양편을 융합하는 통일적인 체계를 형성함으로써 위진 현학을 완성한다. 이런 그의 철학을 우리는 독화론(獨化論)이라고 부른다.

 

곽상의 사상은 그의 저술인 莊子注에 담겨 있는데, 莊子注序文에서 곽상은 위로는 만물을 만들어 내는 어떤 존재가 없음을 알고, 아래로는 어떤 사물도 모두 저절로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안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독화론의 핵심 내용이다. 이 독화론을 탕일개 선생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소위 독화는 모든 사물이 독립 자족적으로 발생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 사물은 바로 이와 같이 독립 자족적으로 발생 변화하고, 저 사물은 바로 저와 같이 독립 자족적으로 발생 변화하는데, 모두 그들 각자의 본성[自性] 때문에 그런 것이지 어떤 외재적인 조물자나 본체로서의 무등과 같은 것이 그렇게 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사물이 존재하고 활동하는 근거는 그 자신에 있는 自性인데, ‘自性저절로 생기는’[自生] 것일 뿐만 아니라 무엇에 의존해 있지도 않다.’[無待] 이 때문에 원칙적으로 말하면, 어떤 사물의 존재나 활동도 모두 어떤 외재적인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입술과 이빨의 관계나 몸과 그림자의 관계처럼 서로 의존 관계가 있는 것같이 보이는 것들조차도 사실은 아무런 의존 관계가 없이 각자 독립 자족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존재한다[自生]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독화는 自性을 바탕으로 自生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렇게 독립 자족하는 개별적 사물들이 서로 의존 관계가 없이 존재한다고 해서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고, 서로 함께 하는 관계[相因]로서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또 그렇다고 해서 서로 의존 관계인 것은 절대 아니다.[非待] 곽상은 개별적 사물들 사이의 상호 관계에서 彼此相因은 인정하지만, “彼此相待는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相因은 존재를 위한 상호 원인이나 상호 조건이 되지 않고 그저 평등하게 상호 공존하는 관계를 말하고, “相待는 존재를 위한 상호 원인이나 조건이 되는 관계를 말한다. 이렇게 하여 곽상은 자족적 개별자들이 아무런 의존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면서, 전체 자연의 절묘한 조화를 긍정하게 된다. 그래서 곽상의 철학에서 각 개별자들은 자신의 자족적 본성 즉 자성의 한계 내에서 그 자성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전체의 조화를 유지하는데 공헌하게 되고, 전체의 완정성을 깨뜨리지 않게 된다. 그래서 각 개별자들이 자성의 범위 내에서 자신을 충실하게 하는 것은 마치 입술이 입술로서 역할을 다할 때 이빨이 시리지 않게 되는 것처럼 곧 다른 개별자들을 위하는 이타적 행위가 되거나 신체 전체의 완정성을 위하는 공헌이 되는 것이다.

 

곽상이 제기한 독화라는 개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바로 이 세계의 만물이 외재적 역량의 지배 없이 자생한다는 것인데, 자생의 근거가 바로 자성이다. “자성을 근거로 자성의 한계 속에서 각자 자생하는 것이 바로 독화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곽상 철학의 내재적 구조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범주는 바로 자성이 된다. 곽상이 철학사에서 한 많은 역할 즉 자연과 명교의 통일, 유가와 도가의 종합, 유와 무의 통일도 바로 자성이라는 범주에 의존하여 해결되며, 장자의 소요에 대한 새로운 해석도 자성이라는 개념 속에서 이루어지며, 내성외왕의 이상도 자성이라는 개념 속에서 완성된다.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반응형

'곽상(郭象, 252-312) > 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성 - 심성론으로의 전환 가능성  (0) 2012.09.21
자성 - 불교 수용의 토대  (0) 2012.09.21
자성 - 장자에 대한 해석  (0) 2012.09.21
곽상의 사상  (0) 201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