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80) 썸네일형 리스트형 들뢰즈 가타리 철학의 기본개념 들뢰즈-가타리 철학의 기본개념 프로이트와 라깡은 “욕망은 결핍에서부터 비롯된다”고 말한다 프로이트의 이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언제나 논란의 중심에 서있다. 신기한 건 이러한 종류의 논란은 언제나 종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아마 이것이 고전의 힘일 것이다. 논란을 끊임없이 끌고 가는 ‘힘’ 말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란 어머니를 성적으로 강하게 갈구하던 아이가 남근기에 이르러 거세에 대한 공포를 겪어내고, 그것을 계기로 성적 정체성과 인격을 형성해 간다는 이론이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철학의 세계에서 마음껏 활개 치도록 풀어놓은 라깡의 이론 역시도 마찬가지다. 그의 이론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상상계와 상징계로 변용된다. 내용인즉슨 어느 것도 구획되지 않는 연속성의 상상계에서 말을 배움으로써 이름이 주어.. 엘레아 학파 이탈리아 서해안에 위치한 그리스의 식민도시 중 하나인 엘레아. 밀레토스의 쇠락과 함께 철학의 중심지는 이 곳으로 옮겨가게 된다. 그리고 이 곳에선 밀레토스의 관심사와 달리 영구불변의 존재에 관한 유사한 생각을 가졌던 세 명의 철학자가 탄생한다. 크세노파네스(Ξενοφάνης, 기원전 570~480), 파르메니데스(Παρμενίδης, 기원전 540~470), 제논(Ζήνων ὁ Ἐλεάτης, 기원전 490~420)이 그들이다. 크세노파네스는 고대 그리스 종교를 공격했다. 인간이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느라 신도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을 거라고 착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는 신은 오직 하나이며 유한자와는 비교할 수 없는 항존자, 우주의 통합자이다. 이렇듯 크세노파네스는 다양한 현상의 배후에 영구불.. 철학의 주요개념 - 형이상학 철학의 주요 개념 형이상학 형이상학의 유래 진정한 철학으로서의 형이상학 엄밀한 학으로서 형이상학의 가능성 참고문헌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a) 형이상학의 유래 우리말 '형이상학'은 서양말 metaphysica·metaphysics·Metaphysik의 번역어 '形而上學'에서 유래한다. 원래의 말 'metaphysica'는 기원전 1세기에 안드로니코스(Rhodos의 Andronicos)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322/1)의 저작들을 정리하면서 제목 없이 전해져온 존재에 관한 14권의 저술을 자연학(physica) 뒤에 묶어 놓으면서 '자연적인 것[자연학] 뒤의 것'[tà metà tà physicà]이라고 명명한 데서 비롯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오늘날 철학의 .. 서양철학사 서양의 철학을 보면 철학의 시작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는 것에서 시작한다. 어떤 법칙 혹은 질서에 대한 인식이 생겨난 것이다. 이전까지 사람들은 법칙과 질서에 대한 논리적인 해석을 신(神)에게 맡기고 있었다.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도,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도 '신이 노하셨다'와 같은 식으로 해석했다. 당연히 그런 시대라고 추측할 수도 있다. 유목이든, 농경이든, 자연 앞에서 인간이 얼마나 무기력한 존재로 살아야 하는 시대였는지 충분히 가늠하고도 남음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의 뜻을 읽어내는 제사장은 상당히 중요한 자리였다. 사실, 이런 모습은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현대에서도 느낄 수 있다. 또 종교와 상관없이 어떤 일이 막히거나 잘 안되면 "하지 말라는 계시인가"와 같은 식으로 말하는 사.. 플라톤의 생애 플라톤이 태어난 해는 기원전 428 또는 427로 추정되고 있고 아테네나 아이기나 혈통의 귀족 집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고대 그리스 전기작가일 것으로 추측되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이하 D)에 따르면 플라톤의 원래 이름은 아리스토클레스였지만 강건한 풍모 때문에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플라톤의 형제는 『국가』에 등장하는 아데이만과 글라우콘이 있고 아버지 아리스톤이 사망한 후 어머니 페릭티오네가 피릴람페스와 재혼해서 난 이복형제 안티폰이 『파르메니데스』에 등장한다. 또한 포토네라는 여동생이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플라톤은 계부인 피릴람페스의 손아래 자란 것으로 보인다. 피릴람페스는 세계사 교과서에 아테네 민주정치를 발전시킨 인물로 등장하는 페리클레스의 .. 철학의 주요개념 - 개념 철학의 주요 개념 백 종 현 개념 개념의 의의 사고의 형식 개념 사고의 형식을 이루는 근간 개념 근간 개념의 유래 사고의 내용 개념 사고의 내용을 이루는 개념 경험 개념 순수 (상상) 개념 기타 파생 개념 개념 형성 능력의 의의 참고문헌 개념(槪念. conceptus. Begriff) 개념의 의의 사람들의 생각을 언표하는 기본적인 형식은 문장이고, 문장은 낱말[단어]들로 구성된다. 그런데 낱말은 근본적으로는 개념을 언표한다. 개념들이 연이어져 한 덩어리의 생각이 이루어지는 만큼, 개념은 의미 있는 생각의 최소 단위이다. 그러므로 개념은 생각을 담고 있는 말과 글의 최소 의미 요소[意味素]라고도 할 수 있다. 개념들은 언표되는 생각의 틀을 이룸과 함께 생각의 내용도 형성한다. 사고의 형식 개념 사고의 형식.. 성경(Bible) 논란 성경에 대한 논란에 관해 서술하는 페이지. 1. 개요 2. 기독교의 시각 2.1. 진보적 신학자들의 입장 3. 주된 논란 소개와 목록 3.1. 성경 내부의 불일치 사례 3.1.1. 다윗의 병적 조사 문제 3.1.2. 아담 가족 이외의 인류 3.1.3. 브엘세바라는 이름은 어떤 유래 3.1.4. 하느님은 악의 유혹을 받지도 주지도 않는다? 3.1.5.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집트에 몇 년간 머물렀나? 3.1.6. 모세의 장인은 누구인가? 3.1.7. 이스라엘과 베냐민 지파의 전쟁 때 이스라엘은 몇 명을 죽였을까? 3.1.8. 사울의 재위 기간 3.1.9. 골리앗을 죽인 자 3.1.10. 사울에 관한 기록의 모순 3.1.11. 다윗의 아버지 이새에겐 아들이 몇 명일까? 3.1.12. 사울의 가족과 관련된 오류 .. 철학의 주요개념 - 철학 철학 철학의 개념 철학의 방법 한국 철학의 의미 한국에서 철학 개념의 형성 외래 사상과 한국의 철학 서양철학·동양철학·한국철학 한국 철학의 의의 참고문헌 철학(哲學. philosophia) 철학의 개념 철학은 무엇을 하는 학문인가? '철학함'이란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인가? 철학의 정체는 무엇이며, 철학한다는 게 도대체 무엇엔가에라도 쓸모가 있는가? 철학에 접하는 많은 사람들은 예나 지금이나 그리고 보통 사람이나 철학자라고 일컬어지는 사람이나, 자주 이런 질문을 던지곤 한다. 이는 철학에 '학'(學)자가 붙은 것을 보면 무슨 학문인 모양인데, 그 말이 지시해 주는 바가 쉽게 파악되지 않음이 그 첫째 이유일 것이다. '학', 다시 말해 '학문'이란 무엇엔가에 관한 '체계적 이론' 내지는 어떤 '이론적 체계..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