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78)
탈레스 - 버드란트 러셀 어떤 철학사든지 처음에 탈레스로부터 서술하기 시작한다. 그는 만물이 물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철학사를 처음 펼치는 학도들에게 환멸을 느끼게 한다. 철학의 교과 과정이 그에게 존경을 요구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에서 그는 오히려 철학자보다 과학자로서 존중해야 할 이유가 충분히 있는 것이다. 탈레스는 소아시아의 밀레토스 사람이다. 이곳은 상업도시로 번영을 누려 많은 노예들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자유민들도 부자와 빈민들 사이에 격심한 계급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처음엔 빈민들이 승리를 거두어 귀족의 처자들을 학살하기도 하였으나 나중에 귀족의 손에 승리가 돌아가 도시의 광장은 적대자를 산 채 화형에 처하는 불길로 하여 밝혔던 것이다" 탈레스 시대에는 이러한 사태..
탈레스 - 그리스 자연 철학의 창시자 탈레스는 그리스의 식민 도시인 밀레토스에서 기원전 624년에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밀레토스는 그리스인들이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지방에 건설한 12개의 식민 도시 가운데 가장 큰 도시였다. 다른 11개의 식민 도시는 리디아에 예속되어 있었지만, 밀레토스만은 독립해 있었다. 밀레토스에서 활약한 철학자로는 탈레스 외에도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형이상학3』에서 탈레스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리스 일곱 현인, 곧 소포스들 가운데, 좁은 의미의 필로 소포스(철학자)라고 불린 자가 있었는데, 그가 바로 탈레스다.” 탈레스는 각지를 여행하며 견문을 넓혔다. 이집트에서는 천문학과 수학을 공부했다. 탈레스는 만물의 생성 과정의 근원을 탐구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그는 ..
철학의 주요개념 - 정신 정신(精神. spiritus. Geist) 낱말 '정신'의 유래와 상관 개념 '정신' 개념의 고전적 의미 중국 고전에서 '정신' 유대와 초기 기독교 고전에서 '정신' 고대 그리스-로마 고전에서 '정신' 근대 '정신' 개념의 형성과 해체 실체인 정신으로부터 이념인 정신으로 '정신' 실체의 함축 '정신' 실체의 부정과 그 귀결 개념 또는 이념으로서 '정신' 인식하는 자아의 동일성과 관념성. 실천하는 인격의 이념성 절대자로서 정신. '정신' 없는 물리주의 세계 인간 세계의 가치 원리로서 정신 참고문헌. 낱말 '정신'의 유래와 상관 개념 우리말 '정신'은 본디 한자말이다. 한글말 '정신'은 한자어 '精神'을 한국 사람들의 발음으로 읽어 적은 것이다. 곧,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정신(精神)'이라는 낱말은 1..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Also Zarathustra...) 001 이 글은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저서 의 간단한 해석 및 설명서이다. 철학을 어려워하는 나의 제자들, 그리고 초심자를 위해 쓴 것이라 저자가 편한대로 중간 중간을 건너 띄고 해석도 중고등학생들도 읽을 수 있도록 현대식으로 풀어 썼다. 그러니 이 글을 읽고 이해한 분들이 자세한 연구를 하고 싶다면 꼭 원문을 읽어야 한다. 글을 쓰는 사람이나 글을 읽는 모든 분들에게 아무쪼록 즐거운 여정이 되길. 머릿글 1 자라투스트라는 30세에 고향을 떠나 산으로 들어갔다. 거기서 10년간 힘들이지 않고 고독을 즐겼다. 그러다 마음의 변화가 찾아왔고 어느 날 잠자리에서 일어나 태양을 향해 소리쳤다. "위대한 태양아! 네가 비출 것이 없다면 너의 행복은 무엇이겠느냐! 나와 독수..
철학의 주요 개념 - 이성 이성(理性. logos. ratio. reason. Vernunft) 이성의 의미 이성 개념의 형성 이성 개념의 변이 반(反)이성주의 동향 참고문헌 이성의 의미 사람들은 흔히 일의 이치를 들어 사리(事理)라 일컫고, 물질에도 이치[物理]가 있으며, 마음에도 이치[心理]가 있고, 사람다운 행실의 이치[倫理]가 있으며, 생각과 말에도 이치[論理]가 있다 한다. 수에도 이치[數理]가 있는가 하면, 글 깨우치는 이치[文理]도 있다 한다. 그 뿐만 아니라 하늘의 이치[天理]와 땅의 이치[地理]도 말하며, 그것을 탐구한다. 무엇인가 이치가 있다면, 이치에도 상하위가 있을 터이고, 상하가 체계를 이룰 때는 최상위의 이치[原理]를 생각할 수 있을 터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런 근원적 이치, 이런 원리를 사람 안에서 찾고..
변신 (Die Verwandlung) - 카프카(F. Kafka) / 1915 1 그레고르는 어수선한 꿈자리에서 깨어났다. 아침이었다. 그는 곧 자신이 한 마리의 흉측한 벌레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자신은 각질로 된 갑옷처럼 딱딱한 등을 밑으로 하고 위를 쳐다보며 누워 있었다. 머리를 약간 쳐들자, 볼록하게 부풀어오른 갈색 배가 보였다. 배 위에는 몇 가닥의 주름이 져 있고, 주름 부분은 움푹 패여 있었다. 그 배의 불룩한 부분에는 이불의 끝자락이 가까스로 걸려 있었는데 금방이라도 미끄러져 내릴 것만 같았다. 그리고 다른 부분에 비해 비참할 정도로 가는 수많은 다리가 눈앞에서 불안하게 꿈틀거리고 있었다. '이게 도대체 어찌 된 영문이지?' 꿈은 아니었다. 주위를 둘러보니 작기는 하지만 평범한, 틀림없는 자신의 방이었다. 사방의 벽도 낯익었다. 방은 바로 그 아늑한 벽으로 둘러..
철학의 주요 개념 - 허위·착오·가상 철학의 주요 개념 허위(虛僞. Falschheit)·착오(錯誤. Irrtum)· 가상(假象. Schein) '비진리'의 문제 형식적 인식과 허위 지성의 성격과 형식적 인식 형식적 인식에서의 착오 가능성 경험적 인식과 착오 경험적 인식의 착오 가능성 대상 의식의 착오와 자기 교정 능력 경험적 인식의 한계와 착오의 의미 '초험적 인식'과 가상 선험적 인식과 초월적 진리 초월적 가상과 '초험적 인식' 인간적 인식의 한계와 의미 참고문헌 '비진리'의 문제 인간은 누구나 착오를 범하기 마련이다. 인간이니까 실수한다. Errare est humanum. 착오, 실수, 환상, 가상, 거짓, 허위 등은 어느 면에서 인간에게는 불가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간의 부족함을 보완해 주는 성격의 것으로 인정되지만, 그러나 대..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세계관 쇼펜하우어 - 의지와 표상 쇼펜하우어는 개별적 의지들의 생존투쟁이 끊임없이 지속돼 고통을 가져온다고 봄 - 그래서 ? 어떻게 살아야 하지? 아폴론적인 그리스인들의 삶에 점점 디오니소스적 이방의 축제 문화가 엄습해 옴 니체는 의지와 표상을 받아들이지만 세계를 긍정해야 한다고 봄 - 그리스 신들에게 인간성을 투여하여 비극적인 삶을 조장 이에 대한 예가 그리스 비극 - 이전 그리스 비극 해석과의 차이 의지와 표상을 디오니소스(도취)와 아폴론(완결성 - 꿈 : 꿈이 완전한지의 문제)으로 대치 세상을 긍정하며 살 수 있는 것은 예술뿐 - 미감적 형이상학 그리스 비극을 바그너로 치환 그리스 비극을 소크라테스(에우리피데스) 이전과 이후로 나눔 지금 독일은 소크라테스 이후 이전으로 돌아가기 위해 바그너가 필요 호메로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