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aximandros(기610-540)/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만드로스 - 무한을 꿈꾸는 영원한 사색

반응형

 

무한을 꿈꾸는 영원한 사색

 

 

아낙시만드로스는 탈레스의 젊은 제자였다. 그는 어떤 단일한 근본 재료로부터 만물이 발생한다고 하는 탈레스와 견해를 같이 하였다. 그렇지만 아낙시만드로스는 탈레스와는 달리 그 근본 재료가 물(水)과 같이 어떤 구체적인 요소일 수 없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어, 물이나 다른 모든 결정체들은 단지 좀 더 근본적인 어떤 것의 구체적인 변형들이거나 파생물에 불과하다는 것을 신념 하였다. 그가 생각하기에, 물론 물이나 수분은 다양한 형태로 도처에 존재하지만, 물도 많은 다른 요소들 가운데 특정한 사물일 뿐이며, 따라서 이들 특정한 사물들은 모두 그것들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재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아낙시만드로스에 따르면, 이 모든 특수한 사물들이 근거하는 제 1의 실체는 하나의 부정적(否定的 : indefinite)인 혹은 무한(無限 : boundless)한 것이다. 그러므로 아낙시만드로스는 제 1의 실체를 "비결정적 무한성(the indeterminate boundless)"이라고 표현함으로써 특정하고 결정적인 사물들과 그것들의 근원을 분리하였다. 실제적인 사물들은 특정한 것인데 반해, 그것들의 근원은 비결정적이며, 사물들이 유한한 데 비해, 근원적인 재료는 무한하다.

 

   사물의 근원적 실체에 관한 새로운 생각을 내세운 것 이외에도, 아낙시만드로스는 그의 새로운 생각을 위한 몇 가지 설명을 시도함으로써 철학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탈레스는 제 1 재료가 어떻게 현실의 많은 개별적 사물들이 되어 가는가를 설명하지 못하였지만 아낙시만드로스는 이 문제를 정확히 표현하였다. 즉, 모든 물질은 그 속성이나 성질이 모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사물이 형성되는 초기에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제 1 실체의 운동의 결과로 분리되어 온(溫 : 불)과 냉(冷 : 공기)과 습(濕 : 물)과 건(乾 : 땅)이 나온다는 것이다. 사실 그의 설명에도 애매한 점이 있긴 하지만, 그것은 지식의 발전에 있어 진일보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논의 불가능한 신비로운 용어로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대신, 이미 알려진 사실들을 가설로 다루려는 시도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직도 사물들의 기원에 관한 주장에는 몽상가적 사색의 기호가 엿보인다. 왜냐하면 비결정적인 무한성을 근원적이며 파괴될 수 없는 제 1 실체로 묘사하면서도, 이 실체가 영원한 운동을 갖는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운동의 결과로 다양한 특정한 요소들이 그 근원적 실체로부터 하나의 "분리(separating off)"로서 생겨나며, 이처럼 "하나의 영원한 운동이 있어 이를 통해 만물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또한 아낙시만드로스는 천체(天體)와 지상의 공기 유동을 설명하려 했고, 별들의 질서 정연한 운동에 대해 기계적인 설명을 하였다. 땅을 물 위에 떠 있는 원판형의 평면이라고 생각했던 탈레스와는 달리 아낙시만드로스는 땅을 원통 모양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인간과 모든 생명체의 기원을 다루면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은 바다에서 태어났고, 시간이 흐르면서 바다로부터 땅으로 나왔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인간이 다른 종류의 피조물로부터 진화되었다고 주장하였는데, 아낙시만드로스에 의하면, 다른 피조물은 빨리 독립하는 데 반해 인간만이 오랜 기간 동안 양육되므로 따라서 만일 현재의 인간이 인간의 원형(原型)이었다면, 인간은 결코 살아남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생멸하는, 즉 창조와 파괴가 부단히 교체되는 많은 세계와 많은 체계의 우주가 있을 것이라 믿었고, 그에게 있어서 그 세계를 하나의 연결로 묶는 어떤 순환 과정은 엄격한 필연성에 따라 정연한 것이 아니면 안 되었다. 그 정연함의 배후에 비결정적이며 무한한 성능이 존재하였으며, 그것은 필연성 자체를 이루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본질상 반대되는 힘들의 상충은 그가 시적으로 표현했던, 그것들의 궁극적 파멸을 요구하는 이른바 불의(不義 : injustice )를 낳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일한 그의 문구에서 아낙시만드로스는 그의 사상을 집약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하는지 모른다. 영원한 사색으로부터 들려오는 메아리처럼.

 

  "만물은 자신들이 파멸되었을 때 필연적으로 자신들이 생겨났던 근원으로 되돌아간다. 그 곳에서 그들은 처벌받고 시간의 질서에 따라 서로서로 자신들의 불의를 배상한다."

 

눈에비친햇빛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