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곽상(郭象, 252-312)/곽상

자성 - 장자에 대한 해석

반응형

 自性: 장자에 대한 해석

 

곽상이 자성개념을 통해서 철학사에 남긴 공헌 가운데 가장 먼저 보아야 할 것은 장자에 대한 그의 해석이다.

 

첫째, 장자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선진 시기에 장자가 쓰여 진 이후, 장자는 개별적으로 읽히다가 위진 시기 완적과 혜강에 의해서 사상적 근거로 사용되면서 삼현의 하나로 등극한다. 현학의 완결자 곽상에 이르러서는 그것이 더욱 더 중시되어 곽상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는 방법인 해석의 대상이 된다. 곽상은 이런 해석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독화론을 전개하는데, 그는 그의 독화론 속에서 각각 개별자들의 독립적 자족성을 주장함으로써 구체적인 현실 세계의 개별자들에게 존재적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 사실 곽상 이전까지는 어느 철학자도 개별자의 존재적 가치를 인정한 철학자는 없었다. 심지어 현실 세계를 넘어선 다른 존재를 부정하고 오직 현실 세계의 존재만을 인정한 배위까지도 현실 세계의 총체로서의 를 인정한 것이지, “범주를 구성하는 개별적 유의 자족적 존재성을 인정한 것은 아니었다. 개별자들의 독립적 자족성을 인정하지 않는 철학에서 현실 세계의 개별자들은 어느 것이나 유한한 존재들이었고, 제한적 가치에 매몰된 존재들이었으며, 개별적 욕망에 사로잡혀 세계의 전체성과 일치되기 어려운 존재였다. 그래서 개별적 존재들은 자신의 유한한 개별성을 극복하고 전체성과 일치되기를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장자에게서도 개별적 인간은 갈라진 벽 틈으로 준마가 지나가는 시간만큼의 짧은 시간을 살뿐 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우물 밖으로 보이는 하늘이 세계의 전부인 줄 알고 사는 우물안 개구리(井底之蛙)와 같이 유한하다. 또 거기다가 편견과 굳은 가치 체계[成心]에 매몰되어 대립면이나 전체성을 보지 못하고 부자유한 삶 속에서 순수한 본연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길을 잃고 죽어가는 존재이다. 이런 개별적인 인간이 성심속에 갇힌 자신과 결별하여[吾喪我] 모든 상대성을 초월한[道樞] 상태에서 전체 우주의 원리에 동참하여 절대적 차원으로 상승하는 것이 바로 유한한 생명과 가치들의 결탁 속에 갇힌 개별적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절대 자유의 경지 바로 소요인 것이다. 이런 소요를 누릴 수 있는 조건을 쌓는 적후지공(積厚之功)과 소요의 경지를 향한 부단한 여정을 보여주는 상징이 바로 大鵬이다.

 

그런데 절대 경지를 설정하고, 유한한 개별자가 이 보편적 절대 경지에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구조 속에서는 자신의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없는 실존적 한계 속에 갇힌 개별자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바로 비상하는 대붕의 아래에서 대붕의 고원한 여정을 비웃는 척안과 같은 존재들이다. 그리고 현실적 제도 안에서는 각각의 역할이 부여되고, 각 개별적 인간들은 자신들이 종사하는 각각의 역할 속에서 그 역할이 부여하는 제한된 가치를 수행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제한된 가치관 속에서 제한된 본분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사회에 기여하는 이런 현실적 개별자들에게 장자의 소요는 너무 멀 수밖에 없다.

 

곽상은 바로 현실적 제도 내에서 자신의 본분을 충실히 수행하는 개별적 인간들에게 소요의 절대 경지를 돌려주려고 하는 것이다. 곽상은 장자의 초월적 소요를 족성(足性 혹은 安性)의 소요로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곽상은 소요유편의 표제를 해석하면서 크고 작은 구별이 있더라도 자득의 공간에 풀어놓는다면 사물은 모두 타고난 본성에 맞고 일은 모두 그 능력에 맞으니 각자가 자기의 타고난 본분대로 하게 되어 모두 똑같이 소요를 누리게 된다. 어찌 그 사이에 질적인 차이가 존재하겠는가!”라고 한다. 대붕과 척안 사이의 차이를 전제하고, 소요의 경지를 척안으로부터는 박탈하고 대붕에게만 부여한다. 즉 천지와 육기를 놀이터로 삼고 무궁한 경지에서 노닐면서 어떤 조건[]에도 구애받지 않는 상태[無待]를 소요의 단계로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장자와 달리, 곽상은 누구나 자기가 타고난 본성을 충족시키기만 하면 그것이 바로 소요이니, 크기에서 차이가 있다고는 하지만 소요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점에서는 모두 같다는 뜻이다. 곽상에 의하면 어느 조건에도 구애받지 않는 무대의 성인에게는 무대의 상태를 이루는 것이 소요이고 유한한 조건 속에 있는 유대의 범인이나 일반적인 사물은 그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소요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무대하는 성인이나 유대하는 범인 사이에도 질적인 차이가 존재할 수 없으니, 유대의 제한성 속에 있는 범인들 끼리나 일반적인 사물들끼리는 질적인 차이가 더욱 존재할 수 없다.

 

소요라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제물이라는 개념을 놓고도 곽상의 해석은 장자와 달라진다. 즉 장자는 이 세계의 어떤 것도 모두 로 이루어져 있고 이 라는 구성 요소를 근거로 상호 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물들 사이의 표면적 차이를 해소하고 대등하게 보거나 관점의 상대성을 근거로 사물들 사이의 주관적 내지는 표면적 차이를 해소해 버리는 방식으로 모든 사물을 대등한 관점으로 본다. 이것이 장자의 제물이다.

 

예를 들어 보자. 장자는 태산과 추호, 상자와 팽조 등을 비교하면서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모두 상대적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즉 태산을 크다고 하지만, 태산보다 큰 것과 비교한다면 태산도 역시 작아질 수 있으며, 추호를 가장 작은 것이라고 하지만 그것도 그것보다 작은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큰 것이 되어 버린다. 이처럼 세계의 모든 존재는 상대적 조건 속에 있을 뿐이니, 하나의 관점으로 포착될 수 없다. 어느 것이나 이런 상대적 관점의 이쪽이 될 수도 있고 저쪽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점에서 만물은 모두 동등한 관점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곽상은 이 점을 새롭게 해석한다. 즉 태산이나 추호가 각각 자기의 본성 범위 내에서 그 본성을 충족시킨다면 큰 것도 큰 것을 좋다고 여기지 않고 작은 것도 작은 것을 부족한 것으로 여기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성을 충족시킨다는 점에서 보면 모든 사물은 각자의 본성 안에서 동등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만물들에는 각자의 자성이 있는데, 자성들에는 모두 한계가 있다. 이 한계는 자연적인 것이므로 이 한계를 근거로 한 모든 구별은 절대적이다. 현상적으로 보이는 모는 차별은 자성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므로 변화시킬 수가 없다. 그러므로 자연적으로 결정된 상대적 차이를 두고 거기에 질적이고 가치론적인 차이를 부가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곽상은 소요라는 개념을 다룰 때와 마찬가지로, “자성을 매개로 제물의 해석을 새롭게 하고 있는 것이다.

 

소요제물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에 대한 해석을 놓고 곽상이 장자를 어떻게 새롭게 해석하였는가를 보았다. 곽상은 장자의 무위개념도 率性而動등과 같이 자성을 따라서 하는 행위를 무위라고 새롭게 해석한다. 여기서는 자세히 논하지 않는다. 다만 곽상이 자성개념을 근거로 장자를 새롭게 해석하고 있음을 보았다.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반응형

'곽상(郭象, 252-312) > 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성 - 심성론으로의 전환 가능성  (0) 2012.09.21
자성 - 불교 수용의 토대  (0) 2012.09.21
독화론  (0) 2012.09.21
곽상의 사상  (0) 201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