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Hegel(1770-1831)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칸트와 헤겔의 자연개념 - 자연윤리학의 정초 가능성 칸트와 헤겔의 자연개념 - 자연윤리학의 정초 가능성 1.환경 위기의 시대에 왜 칸트와 헤겔인가? 오늘날 적지 않은 환경론자들이 인류가 직면한 생태 위기의 근본 원인을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와 인간중심주의적인 지배적 세계관에서 찾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사고와 전통을 해체 및 극복하는 데서 환경 위기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물이나 생명체 나아가 자연 자체의 가치를 근본적으로 새롭게 인식하고자 하는 노력들을 경주해왔다. 환경철학, 생태철학은 물론 환경윤리학, 생태윤리학, 자연윤리학 등의 용어들이 이 같은 상황을 대변해준다. 이제 ‘자연’ 자체가 철학의 새로운 ‘화두’로 부상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자연이라는 주제는 철학적 탐구에서 전적으로 배제되거나 배척받.. 헤겔의 정신 철학에 있어서 형성(Bildung)의 개념 헤겔의 정신 철학에 있어서 형성(Bildung)의 개념 [한글 요약] 형성, 교양 혹은 도야로 번역될 수 있는 독일어의 Bildung은 근대의 지배적인 정신적 사조였던 계몽주의이래 인간을 규정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특히 근대적 사유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성에 근거하는 주체성의 개념이나 주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는 자기 자신과 더불어 자연과 세계를 창조하는 인간에 내재해 있는 형성 능력을 전제한다고 할 수 있다. 헤겔은 근대적 주체성을 표현하는 이러한 형성 개념을 자신의 완결된 철학 체계 속에서 실천철학을 서술한 정신 철학의 중심 요소로, 즉 자유를 자신의 본질로 삼는 정신의 중심 요소로 받아들인다. 자신을 타재 속에 외화하고 이러한 외화 된 타재로부터 자신으로 복귀하는.. 헤겔의 자기 의식의 변증법 헤겔의 자기 의식의 변증법 1. 칸트의 초월적 자기 의식, 헤겔의 사회적 자기 의식사물 인식, 곧 대상 의식의 확실성의 방식에서 진상은 의식 자신이 아닌 다른 어떤 것이다. 그리고 이 "진상"은 헤겔(G. W. F. Hegel : 1770∼1831)의 대상 의식의 변증법에서는 의식의 경험, 곧 "의식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하자면 자기의 지식 작용과 자기의 대상에 대해 행사함으로써 그로부터 참된 대상이 생겨나는 변증법적 운동"(GW9-60)에서 나타났다 사라진다. 그러므로 헤겔이 파악한 대상 의식에서의 대상, 곧 독일어 낱말 뜻 그대로 '의식(Bewu t-sein)'에서 '알려지는 것', 그러니까 감각의 확실성에서 '이것'이라는 존재자, 지각에서의 구체적인 '사물', 지성에서의 '힘'은 직접적으로 그 자.. 사회계약론 비판과 자유실현으로서 인륜적 국가 사회계약론 비판과 자유실현으로서 인륜적 국가 헤겔은 칸트로부터 많은 것을 물려받지만 자연의 계획에 의존하지도 않고 변신론과 이성적 주체 사이에서 동요하지도 않으면서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정립하려고 한다. 사회와 역사의 모델을 신의 계획으로 설명하는데서 그친다면 여기에서는 인간의 이성과 주체성이 사라지고 개인의 의지는 알 수 없는 낯선 외적 장치의 영향을 받게 된다. 칸트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의 계획을 상정하고 이 속에서 개인의 의지와 충동과 투쟁을 부각시키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성적 주체성 그리고 도덕 및 선의 실현이 퇴색해버릴 여지가 있다. 그래서 헤겔은 종교적 차원을 견지하면서도 이것이 각 개인의 이성과 어떻게 조화롭게 통일될 수 있는지를 고심한다. 헤겔은 초기부터 기독교의 예수를 인격..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