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istotle(기384-322)/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

반응형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처럼 이데아라는 것이 따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 내부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은 재료와 같은 질료가 있고 그로 인해 생긴 형태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형상이 이데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금반지를 예로 들면 금반지는 금이라는 질료와 동그랗게 가운데 구멍을 뚫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잠재태와 현실태로 구분한다. 금반지에서 금은 반지가 될 수 있는 질료의 상태인 잠재태이고 형상을 가지고 반지가 된 금반지는 현실태가 된다. 잠재태가 변화하여 현실태가 된 것이다. 이는 질료가 내재해 있는 형상을 실현해 나가는 것이다. 질료가 형상으로 나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작용인과 목적인이 있기 때문이다. 작용인은 무엇이 만드는 지에 대해 목적인은 무슨 목적으로 만드는 가에 대한 답이다. 금반지는 금세공사라는 작용인이, 사랑의 징표로 손가락에 끼기 위한 목적인을 가지고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현실태는 또 다른 형상의 잠재태가 될 수 있다. 특정한 나무의 씨앗은 나무가 되려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특정한 나무는 탁자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사물은 그위 형상을 향해, 또는 그 위의 목적을 향해 계속 변한다. 이를 소급해 가면 우리는 최초의 목적인을 만날 수 있다. 이를 부동의 동자라 한다. 질료가 없는 순수한 형상으로 운동의 영원한 원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부동의 동자를 신이라 한다면 신의 운동은 질료가 형상으로 가면서 이뤄지는 것이다. 이런 시각은 세계가 어떤 목적을 향해 움직인다는 목적론적 세계관을 이끌어 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의 목적은 인간의 선한 삶을 보장해 주는 것이라 결론을 내린다. 그걸 실현하기 위해 정치에서 정의와 평등은 중요한 전제이고 중간 계급이 국가의 중심이 되어 정치에 많이 참여할수록 국가는 선한 삶을 더 잘 보장할 수 있다말한다. 

 

 

눈에비친햇빛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