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 Ockham(1285-1349)/오컴

보편자는 기호에 불과, 오직 개별적인 것만이 실재한다 - 오컴

반응형

 

윌리엄 오컴은 UK 서레이 오컴에서 태어났다. 프란치스코회에 들어갔고 옥스포드에서 수학했다. 피터 롬바르트의 <명제집>에 관한 주석서를 썼으나 이에 관한 매우 논쟁적인 소재로 강의를 진행해 이단으로 고소를 당했고 1324년 교황청에 소환되어 2년간 그곳에서 보냈다. 1326년 오컴이 쓴 명제 중 51개가 이단으로 결정나자 오컴은 이를 철회하길 거부하고 교황의 반대파인 영성프란치스코회에 가담해 같은 단원들과 함께 교황청을 탈출했다. 그러자 교황은 오컴을 파문하였고 오컴은 뮌헨에서 루이 황제의 보호를 받으며 교황에 반대하는 글을  쓰며 지냈다. 유럽에 흑사병에 발발하고 10년 정도 후에 감염되어 사망했다. 

 

오컴은 극단적인 경험주의자이다. 그는 감각의 개별적 대상들만이 유일한 실재라고 주장하며 유명론의 권위자가 되었다. 또한 신학의 진리들은 이성을 통해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의 '오컴의 면도날'이라 불리는 경제성의 원리는 "더 적은 것의 전제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더 많은 것의 전제로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컴둔스 스코투스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만물은 신의 자유의지 위에 놓인 우연적인 산물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이전의 신학자 또는 철학자들과 다른 길을 간다. 이전의 선배들은 만물의 완전한 형상들은 비물질로 이데아에 존재한다는 플라톤의 견해를 받아들여 신의 마음안에 있는 이데아로 둔갑시키고 기독교와 결합시켰다. 그리고 창조된 세계는 신의 마음 안에 있는 이데아에서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창조된 세계의 명제들로 신의 마음에 대한 지식 추구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오컴은 그런 주장은 신의 자유를 심각하게 제한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창조는 우연적이고 자연과 신의 마음 사이에는 필연적 연결이 있을 수 없고 지식을 얻기 위해선 개별 사물을 보아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개별적인 것들만이 구체적으로 실재하기 때문이다. 

 

오컴은 보편적명사 '남자', '여자', '불', '개'와 같은 것들을 개별적인 여자나, 개, 불과 상관을 짓고 그들의 형상 혹은 본질이라 할만한 정당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오컴은 이렇듯 형상이나 본질의 실재를 상정할 때는 가차없이 잘라냈다. 보편성이란 실재로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어떤 이름이나 부호의 성질을 갖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보편자는 사물 개별에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말들에 적용되는 이름이다. 

 

피터의 <명제집>에서 오컴은 두 가지 종류의 지식을 구분했다. 직관적 지식은 대상에 대한 직접적, 즉각적 의식으로 마음의 활동이 이런 직접적인 의식에 종사 할 때를 말하는 직접적 의식이다. 추상적인 지식은 직관적 지식으로 얻어지며 사실에 관한 지식이 아니라 명제에 관한 지식이다. 그것은 많은 사물들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형성된 보편자에 관한 지식이거나 존재하는 혹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대해 내린 판단이거나 둘 중 하나이다. 

 

모든 지식은 개별적 사물에 관한 직관적인 의식으로 구성되거나 그것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그가 신을 알 수 있는 어떠한 가능성도 그것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그가 신을 알 수 있는 어떠한 가능성도 거부해야만 한다. 하지만 개별 사물을 즉각적으로 파악한 존재의 개념을 통해 신에 대한 모종의 개념을 가질 수는 있다. 그렇다고 이것이 신의 존재를 보장해주는 것도, 신과 피조물으 존재 관계를 설명해 주는 것도 아니다. 다만 신의 존재에 대한 개념을 형성토록 도울 뿐이다. 우리는 이렇게 해서 '최초', '제일 우선의', '제1존재' 등과 같은 개념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그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이 실제로 존재하는 지를 아는 것과는 다른 문제다. 그것들은 개념들에 대한 지식이지 신에 대한 지식이 아니다. 신에 대한 지식은 직관적 지식인 계시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눈에비친햇빛 

 

반응형

'W. Ockham(1285-1349) > 오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컴의 면도날  (0) 2011.03.06
정치인의 변명과 오컴의 면도날  (0) 2011.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