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트르(Jean Paul Sartre)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고 말한다. 도구의 본질은 도구의 존재 이유 또는 존재의 근거와 같다. 컵이 존재하는 이유는 액체를 따르기 위해서이고 칼은 무언가를 자르기 위한 것이다. 이것들은 인간이 만들었기 때문에 만든 취지에 이미 본질이 정해져 있다. 그런데 인간은 어떨까. 인간은 누군가 만든 것도 아니며 무엇을 위해 만들어진 것도 아니다. 어떤 종교에서는 신이 인간을 만들었고 특정한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증명할 수 없는 것이다. 인간이란 그저 이 세상에 던져진 존재다. 사르트르의 말은 결국 인간에겐 본질의 의미를 물을 수 없이 실존만이 먼저 그렇게 있을 뿐이다라는 것이다. 인간에겐 지켜야 할 원천적인 목적이나 당위 또는 절대자의 명령 같은 같은 건 존재하지 않고 그저 자유를 선고받은 존재인 것이다. 그렇기에 인간은 스스로 삶의 방식을 선택하고 책임지고 (원한다면) 알아서 본질도 만들어야 한다.
존재와 무
후설은 현상학에서 실재를 ( )로 놓고 대상이란 항상 의식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사르트르는 대상이 의식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 자체로 인간 밖에 실재하고 존재한다고 전제한다. 이렇게 본래부터 있는 존재를 즉자라 한다. 이 즉자는 보통 대상이며 사물이다. 돌멩이나 나무와 같은 자연적 존재로 그거 거기에 있는 것들이다. 인간이 만든 도구와는 다르다. 이 즉자는 그 자체로 있는 존재이고 타자와의 어떤 관계를 필요치 않고 스스로 충만하다.
의식은 다른 존재와의 관계를 통해서만 존재한다. 이를 대자라 한다. 우선 인간의 신체는 물질처럼 존재하는 즉자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의식은 물질과는 전혀 다른 보이지 않는 어떤 존재다. 의식은 주변과 자기를 의식하고 심지어 의식을 의식하며 존재한다.
이렇듯 인간은 즉자로서 신체를, 대자로서 의식을 가진 존재라 할 수 있다. 만약 의식이 존재라면 인간은 두 개의 존재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두 개의 존재를 갖는 개인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의식은 비존재, 즉 무다. 사르트르의 무 개념은 가장 모호하고 다의적이다. 무인 의식은 사람들이 그것을 볼 수 없는 한에서 밖에서는 존재할 수 없고 존재의 배경으로 존재하며 이 무로 인해 존재가 그 윤곽을 드러낸다. 아무것도 없는 순수한 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 부재나 부정하는 힘으로서 무가 존재한다.
무는 존재의 부정을 통해 존재하는 '~아니다'의 기능을 내포한다. 대자인 무는 '~아니다'이며, 존재를 무화하는 것으로 존재한다. '우리의 의식은 한가운데 무를 가지고 있으며, 끊임없이 세계 안에서 무를 분비하는 어떤 대자존재다"
대자는 자신의 즉자나 의식을 바라보면서 거리가 생긴다. 그 거리도 존재하지만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 여기서 거리는 물리적 거리가 아니라 자신이나 의식을 부정하면서 생기는 거리다. 그것들은 자신이면서 자신이 아니기에 '~아니다'로서의 무다.
의식이 존재를 의식하는 순간 의식은 무가 되며 존재가 의식 위로 부상한다. 반명 의식을 의식하면 존재는 과거가 된다. 이때 의식 위에 드러나는 존재들은 모두가 과거가 되어 의식에 출현한다. 동시에 그 의식은 미래를 향해 있다. 과거는 흐릿하게 의식 위에 머물며 현재는 과거로 전환되고 미래는 의식 속에 선명하게 출현하려 하고 있다. 대자는 끝없이 미래로 던져지는 것이다.
과거는 '~아니다'로 저물어가고, 현재는 '~아니다'로 변하고 있으며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부재다. 인간의 의식, 대자존재는 끊임없이 무화하면서 무를 만들어 내는 무이다. 사르트르는 이를 '무화하는 무(menat neanisant'라 말했다. 대자는 이렇게 끊임없이 무화하면서 미래로 나아가는 힘을 얻는다. 무는 없음이고 없음은 결핍이기에 이 결핍을 채우기 위해 끊임없이 외부의 것을 끌어들이며 또 다시 무화한다. 하지만 채워지지 않는다. 무는 아무것도 아니기에 어떤 근거나 이유가 없다. 심지어 시간적 흐름을 제외한다면 아무런 방향도 없다. 그 어떤 것도 무를 규제하거나 필연성으로 얽맬 수 없고 그런 이유로 이 무는 완전한 자유다. 이 대자는 끊임없이 초월하며 무화하고 앞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결핍은 채워지지 않고 자신이 하나의 대상인 이상 자신이 온전히 자신도 될 수 없는 갈증과 답답함을 느낀다. 그러면서도 완전히 자유로운 존재. 그것이 인간이다. 인간은 자유를 허락받은 유쾌한 존재라기 보다 하나의 죄처럼 자유를 선고받은 존재다.
인간의 본질을 굳이 묻고자 한다면 이렇듯 인간은 무한한 자유, 끝없는 초월성을 통해 자기 자신을 계속 미래로 던져야 하는 존재다. 인간은 자유 안에서 무엇을 할지,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를 찾아야 한다. 정해진 방향도 없지만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수도 없다. 인간은 그런 대자, 의식, 무를 가지고 있다. 물론 가만히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도 역시 선택의 하나일 뿐이다. 이렇게 끊임없이 선택을 통해 우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이렇듯 실존은 본질에 앞서는 것이다.
눈에비친햇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