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프츠베리(Anthony Ashley Cooper, 3rd Earl of Shaftesbury 1671—1713)의 무관심성 개념
1. 무관심성은 이기적인 욕망이나 사적인 관심을 지양하고 공익적인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과 직결되어 있다.
그래 무슨 말인지 알 것 같다. 미적 취향을 드러낼 때 예를 들어 “우리 집 식구가 한 작품이니 좋아” 라는 말처럼 이기적인 욕망을 드러내거나 2ne1을 좋아한다거나 소녀시대를 싫어하는 이유로 그 작품을 판단하면 공익적인 관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내가 대중음악상 위원인데 무관심성으로 바라보면 2ne1이 좋은데, 사적인 관심을 가지고 보면 소녀시대가 더 좋을 수 있다는 것이겠지. 기호는 미적 취향에 우선하는가? 그렇다. 이기적인 욕망이나 사적인 관심은 미적 취향을 흐트러트린다. 돈에 의해 판단이 흐려지는 것처럼.
그런 의미에서 <나는 가수다>에 특정 가수를 비방하는 행위나 무조건 찬양하는 행위 모두 미적 취향의 무관심성을 해치는 경우라 하겠다.
2. 무관심성은 인간의 진정한 본성과 자연의 가장 깊고 생동하는 진실의 차원으로 나아가는 데 필수적인 조건의 역할을 한다.
3. 무관심적 관조는 아무런 관심도 기울이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주관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구체적인 현상들을 더 투명한 정신으로 주의를 집중하여 바라보고 참여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4. 이러한 무관심적 관조는 주관에게 여타의 다른 감각적 쾌감들과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고유한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미학의 문제와 방법 /46p / 무관심성 / 하선규 / 미학대계간행회 / 서울대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