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istotle(기384-32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 가능태와 현실태

반응형

 

 

  구체적인 감각적 실체는 질료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별적 존재자다. 그러나 그런 존재자 안에 있는 형상적 요소는 종의 모든 구성원들을 동일하게 만든다. 하지만 형상적 요소가 구체적인 감각적 실체를 특정한 개별자로 만들 수는 없다. 즉 형상은 감각적 대상들의 개별화 원리는 아니다. 그걸 가능케 하는 것은 질료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이하 A)는 형상에 있어 동일하지만 질료가 다르기 때문에 다르다. A는 다수성이 질료에 의존한다는 것을 간파한 후 계속해서 부동의 제1원동자는 질료가 없기 때문에 표현상으로나 정의상으로만이 아니라 수적으로도 하나여야 한다고 평했다. - 하지만 A는 부동의 원동자들이 다수 존재한다고 말했다.   질료는 개별화의 원리임과 동시에 그 자체로 알려질 수 없다. A는 학문이 정의나 본질에 관계한다고 말하고 있어 정의될 수 없는 개별자는 학문의 대상이 아니라고 본다. 개별적인 지성적 원(수학적 원)이나 감각적 원(나무나 청동으로 만든 원)은 비록 정의될 수 없지만 직관이나 지각에 의해 이해된다.  

 

 

형이상학9권에서 A는 가능태와 현실태를 논한다. 현실태는 가능태에 앞선다. 현실적인 것은 항상 잠재적인 것으로부터 산출되며 인간이 인간에 의해 탄생되듯이 잠재적인 것은 항상 이미 운동중인 현실적인 것에 의해 현실태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현실적인 것은 잠재적인 것에 시간적으로 앞선다. 또 논리적으로도 앞선다. 현실태는 가능태가 그것을 위해 존재하거나 얻어지는 목적이기 때문이다. 시간적으로는 소년이 성년에 앞서지만 아동기는 성년기를 위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성년기가 앞선다. 실체에 있어 영원한 것이 가멸적인 것보다 앞서고 영원한 것은 최고로 현실적인 것이다. 신은 필연적으로 존재한다.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완전히 현실적이다. 운동의 영원한 원천, 즉 가능태에서 현실태로의 변형의 영원한 원천으로서 신은 충만하고 완전한 현실태, 즉 부동의 제1원동자여야 한다. 영원한 것은 선이다. 질료가 없는 것은 순수한 형상이다. 모든 운동의 원천인 부동의 제1원동자는 목적인으로서 잠재성이 현실화하는, 즉 선이 실현되는 궁극적 이유다.   10. 가능태와 현실태의 구분은 존재의 단계설 또는 위계설로 연결된다. 자신의 출발점에 관해서는 현실태로 있는 것이 또 다른 종점에 관해서는 가능태로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공된 돌은 가공되지 않은 돌의 현실태지만 아직 지어지지 않은 건물에서는 가능태로 있다. 마찬가지로 감각적 측면과 기능에서의 영혼도 육체에 관해 현실태로 있지만 지성이라는 상위 기능에 관해서는 가능태로 있다.  그 자체로는 알려질 수 없고 형상과 분리되어 결코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제1질료가 있다. 그것은 온기와 냉기, 건조함과 습함의 대립자들과 결합하여 흙, 공기, , 불의 네 가지 물체를 이룬다. 이 단순한 물체들은 금덩이와 같은 무기물과 생명체의 단순한 세포 조직을 이룬다. 유기체들은 이들을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능동 지성, 천체의 분리된 지성, 그리고 신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한다(‘진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개별적 감각은 소멸하고 종은 영원하다).  

 

 

 

눈에비친햇빛 

 

 

 

 

 

 

 

 

 

 

반응형